송림운동

송림운동

[ 松林運動 ]

요약 한반도에서 일어난 지각변동으로 트라이아스기 중엽에 일어난 습곡작용을 말한다. 평안남도 경의포 부근의 송림에서 그 흔적을 처음 발견하여 송림운동이라 부른다.

한국의 석탄기·페름기트라이아스기 하부(平安系)는 그들 사이에 준정합을 두면서도 전체로는 개개의 퇴적분지에 쌓인 일련의 두꺼운 지층들이다. 그러나 중부 트라이아스계의 퇴적이 없이 상부 트라이아스기와 쥐라기를 합친 일련의 지층(大同系)이 퇴적된 곳은 주로 대석회암통(大石灰岩統)으로 된 지역이고, 일부는 평안계로 된 지역도 있다.

이렇게 퇴적기반이 옮겨진 것은 트라이아스기 중엽에 습곡작용이 일어나 평안계의 퇴적분지를 파괴하고 상당한 침식의 시기를 거친 후 지표에 노출된 대석회암통을 덮을 정도의 지각변동이 있었음을 의미한다. 명칭은 평안남도 경의포 부근의 송림에서 처음으로 발견되어 연유한다.

참조항목

습곡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