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

소화

[ fire extinguishing , 消火 ]

요약 연소 중인 물질에 대해 인위적인 수단으로 연소를 종식시키는 일을 말한다. 인화성인 액체에 불이 붙었을 때는 그 액체 자체의 온도를 인화점 이하로 냉각시키거나 물을 뿌려 희석하여 인화점을 높여서 연소를 차단한다. 불을 끄는 데는 가연물(可燃物)·산소원·점화원 중 한 가지를 제거하면 된다.

넓은 뜻으로는 저절로 꺼지는 것도 포함된다. 인화성인 액체에 불이 붙었을 때는 그 액체 자체의 온도를 인화점 이하로 냉각시키거나 물을 뿌려 희석하여 인화점을 높여서 연소를 차단한다. 불을 끄는 데는 가연물(可燃物)·산소원·점화원 중 한 가지를 제거하면 된다.

① 가연물 제거:가연물을 연소구역에서 멀리 제거하는 방법으로, 연소방지를 위해 파괴하거나 폭발물을 이용한다. ② 산소의 차단:산소의 공급을 막는 질식 소화방법으로, 이산화탄소 등의 불연성 가스를 이용하거나 발포제(發泡劑) 또는 분말소화제에 의한 냉각효과 외에 연소면을 덮는 직접적 질식효과와 불연성 가스를 분해·발생시키는 간접적 질식효과가 있다. 또 물로 소화하는 데는 ③의 냉각효과가 제일 소화능력이 크지만 수증기로 산소의 농도를 희석하는 질식효과도 있다. ③ 열량의 공급 차단:냉각함으로써 빨리 연소열을 빼앗아 연소물의 온도를 발화점 이하로 낮추는 소화방법이며,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보통 화재 때의 주수소화(注水消火)는 물이 다른 것보다 열량을 많이 흡수하고, 증발시에도 주위로부터 많은 열을 흡수하는 성질을 이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