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화학산업

석유화학산업

[ petrochemical industry , 石油化學産業 ]

요약 석유나 천연가스를 원료로 하여 연료·윤활유 이외의 용도로 사용되는 석유화학제품을 만드는 산업을 가리키는 말이다.
여수 국가산업단지

여수 국가산업단지

섬유·타이어산업·자동차·전자·정밀화학·신발 등에 기초원료를 공급하는 소재산업이다. 석유화학은 1920년 미국에서 시작되어 제2차 세계대전 때부터 1950년까지 기초적인 여러 문제가 해결되었다. 그후 각국에서 합성섬유·합성수지·합성고무 등 각종 제품을 개발함에 따라 그 원료물질을 확보하기 위한 중요한 산업이 되었다.

석유화학에는 석유 등의 원료를 이용하기 쉬운 상태로 바꾸는 전화(轉化), 전화한 것으로부터 필요로 하는 것의 분리·정제, 분리물질을 가공하여 석유화학제품으로 만드는 여러 공정이 있다. 전화법은 나프타 분해 외에, 용해추출(溶解抽出)·흡착(吸着)·증류(蒸溜) 등의 방법을 사용하며, 생산공정에서는 합성화학·화학공학의 여러 가지 방법을 쓴다. 석유화학공업은 원료면에서는 석유정제업에 결부되고, 수요면에서는 각종 합성화학공업에 밀접하게 결부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각종 산업은 제품에 따라 분류하지만, 화학공업은 그 중요 공정이 화학반응을 가지는 특수한 것이므로, 석유화학산업은 원료에 주안점을 두어 분류하는 등의 특수성이 있다. 또 석유화학산업은 전형적인 장치산업(裝置産業)으로 완전히 자동화되어 있다. 새로운 기술과 제품개발에 의해 섬유 등 종래의 제품의 대체뿐만 아니라 각종 합성수지 등과 같은 새로운 분야의 개발이 급속도로 진척되어 전자공학·원자력 산업 등과 같이 기술혁신시대의 대표 산업이 되었다.

카테고리

  • > >
  • > >
  • > > >

관련이미지

SK인천석유화학(주)

SK인천석유화학(주) 출처: doopedi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