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애집

서애집

[ 西厓集 ]

요약 조선 선조 때의 문신 ·학자 류성룡(柳成龍:1542~1607)의 시문집.
구분 목판본
저자 류성룡
시대 조선시대 1633년(인조 11)

목판본. 20권 11책. 1633년(인조 11)에 아들 진(袗)이 합천군수로 있을 때 간행하였다. 권1∼2는 시(詩), 권3∼4는 주문(奏文) ·소(疏) ·차(箚), 권5는 차(箚), 권6은 장(書狀), 권7∼8은 계사(啓辭), 권9는 정문(呈文) ·서(書), 권10∼12는 서(書), 권13∼16은 잡저(雜著), 권17은 서(序) ·기(記) ·논(論) ·발(跋), 권18은 발(跋) ·전(箋) ·(銘), 권19는 제문(祭文) ·비갈(碑碣), 권20은 묘지(墓誌) ·행장(行狀) 등이 수록되어 있다.

모두 20권 11책으로 되어 있으나 본집 1책을 줄여 10책으로 한 것도 있으며, 또 별집 4권이 있어 시(詩) ·소차(疏箚) ·계문(啓文) ·정문(呈文) ·서(書) ·잡저(雜著) ·비변잡록(備邊雜錄) ·주의(奏議) ·기사(記事) ·발(跋) ·서후(書後) ·명(銘) ·제문(祭文) 등 원집에 누락된 유시문(遺詩文)을 수록하여 모두 24권 13책으로 된 것도 있다. 1958년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에서 서애문집(西厓文集) 국판 789면을 영인(影印)하여 발행하였는데, 이것은 규장각도서 본집 20권 10책, 별집 4권 2책, 연보 2책을 합본한 것으로, 임진왜란의 전후 사실을 기록한 《징비록(懲毖錄)》도 들어 있다. 책머리에 이민구(李敏求)의 서문이 있고, 책끝에 이준(李埈) ·장현광(張顯光)의 발문이 있다.

참조항목

유성룡, 유진

역참조항목

융서촬요, 징비록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