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봉총 금관

서봉총 금관

[ Gold Crown from Seobongchong Tomb , 瑞鳳塚 金冠 ]

요약 1926년 경상북도 경주시 서봉총에서 발견된 신라 때의 금관. 1963년 1월 21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서봉총 금관

서봉총 금관

지정종목 보물
지정일 1963년 1월 21일
소장 국립중앙박물관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시대 신라
종류/분류 유물 / 생활공예 / 금속공예 / 장신구
크기 높이 30.7cm, 지름 18.4cm

1963년 1월 21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30.7cm, 지름 18.4cm이다. 1926년 경주시 서봉총에서 발견되었다.

기본형은 다른 금관과 같으나 내관(內冠)과 수식(垂飾)에서 양식을 달리하고 있다. 내관은 두 가닥의 금판대(金板臺)를 전후 좌우에서 대륜(臺輪)에 연결하여 반원을 그리면서 십자로 교차 연결시키고 그 위에 세 가닥의 나뭇가지 같은 것을 붙였으며, 가지 끝마다 봉황 같은 새가 한 마리씩 붙어 있다. 대륜 좌우에는 수식이 길게 달려 있으며, 형태는 태환식(太還式) 귀고리의 중간장식이 길고 복잡해진 형식이다. 태환에는 작은 원형 달개[瓔珞]가 장식되고 여기에 연결된 고리에서 두 가닥 수식이 늘어져 있다. 다른 금관과 같이 나뭇가지와 사슴뿔을 상징한 형태는 북방계 문물의 영향을 나타내고 있다. 

카테고리

  • > > >
  • > > >
  • > > >

관련이미지

서봉총 금관

서봉총 금관 ※ 본 저작물은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저작물로, 해당 저작물은 국립중앙박물관 누리집(홈페이지)(http://www.museum.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출처: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