삿무늬토기

삿무늬토기

[ 繩蓆文土器(승석문토기) ]

요약 그릇 표면에 두들개를 이용해 돗자리무늬를 새긴 원삼국시대의 대표적인 토기.

만들 때 안으로는 자갈돌 같은 받침을 대고 밖으로부터 노끈을 감거나 노끈무늬·격자무늬를 새긴 방망이로 두드려 표면에 노끈무늬·격자무늬를 나타나게 한 다음 같은 간격의 평행선을 둘러 돗자리 비슷한 삿자리무늬를 만들고 있어 종래 승석문(繩蓆文)토기라고 불렀다. 최초의 보고서가 간행된 김해조개더미의 이름을 따서 흔히 김해토기라 부르기도 한다. 김해조개더미에서는 연질(軟質) 또는 경질(硬質)의 회색·적갈색 때린무늬토기 등 여러 민무늬토기가 나왔지만, 좁은 의미에서 김해토기는 삿무늬가 시문된 경질회도를 가리키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 회색토기는 종래의 민무늬토기에 중국식 회도의 기법이 가미되어 생겨난 토기로 보고 있다.

이 토기에 보이는 새로운 기법으로는 정선된 바탕흙[胎土]의 사용과 더불어 기존의 노천요(露天窯)와는 다른 폐색요(閉塞窯), 즉 지붕을 가진 실요(室窯) 또는 터널식 요의 사용을 들 수 있다. 이에 따른 토기의 특징은 그 색상이 적갈색에서 회색으로 변해간 것이다. 웅천(熊川)조개더미의 퇴적층의 경우에도 연대가 오래된 아래층에는 붉은토기가 많고 위로 올라갈수록 회색토기가 많아지는 현상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삿무늬토기를 특징짓는 것은 끈을 감거나 끈무늬·격자무늬를 새긴 나무방망이 등의 도박(陶拍)이라는 문양내는 도구를 써서 무늬를 만드는 데 있다.

이것은 토기 표면을 두드려서 벽을 단단히 하는 동시에 무늬를 남긴 것인데, 대개 그 무늬는 둥근밑의 항아리에만 있고, 다른 기형에는 없다. 그리고 제작방법에 있어서는 물레의 사용흔적은 보이나 발로 차서 돌리는 정식 물레가 사용된 증거는 없고, 손으로 돌리는 간단한 돌림판(turntable)을 써서 아가리 등을 마무리했던 것으로 보인다. 기형으로는 납작밑의 광구(廣口)항아리, 화분형 항아리, 둥근밑의 광구항아리, 굽다리 대야형의 그릇[爐形土器], 다리에 구멍이 없고 뚜껑이 없는 굽다리접시[高杯] 등 여러 가지가 있으나, 둥근 바닥에 작은 구멍들을 뚫은 시루는 이 시기에 처음 나타나는 중요한 조리기구이다.

한편, 이 토기에는 도질(陶質)이나 석기질과는 다른 와질토기(瓦質土器)라는 형식이 있는데, 와질토기 중에 쌍뿔손잡이가 달린 그릇에 한해서 김해토기에서와 같은 삿무늬가 시문되어 있다. 이 토기는 종래의 적갈색토기에서 회색토기로, 즉 물기가 스며드는 토기에서 물기가 스며들지 않는 토기로 한단계 발전한 토기로서 토기혁명이라고 보는 이도 있으며, 이 토기는 결국 신라토기의 기원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