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질토기

와질토기

[ 灰陶(회도) ]

요약 중국의 신석기시대로부터 철기시대 초기에 걸쳐 사용된 회색의 토기.
경주 조양동 유적 와질토기

경주 조양동 유적 와질토기

고패로 형태를 만든 다음 새끼줄로 감아 막대기로 바깥쪽에서 두들겨 굳혀서 가마 속의 공기유통을 잘 되게 하여 구우면, (粘土)에 포함된 철분이 산화제2철(酸化第二鐵)로 변화하기 때문에, 토기는 붉은색을 띠어 홍도(紅陶)가 된다. 다음에 이것을 밀폐된 가마 속에서 구우면 산화제2철이 산화제1철로 환원되기 때문에 토기는 거무스름한 회색이 되어 와질토기가 완성된다.

와질토기는 단단하게 구워지므로 내구력(耐久力)이 있어 전적으로 물을 끓일 때나 음식의 취사에 쓰였다. 의 기[仰韶文化期]에 나타나 청동기시대에 해당하는 은(殷)·주(周)대에 전성기를 이루었다. 처음에는 손으로 주물러 만들었으나 [龍山文化]의 말기에는 고패를 사용한 것이 많아졌다. 처음 형을 말릴 때 새끼를 감은 나뭇조각으로 두들겨 굳히기 때문에 표면에 꼰무늬[繩文]가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다. 또 그것을 수평으로 긁어내려 장식적 효과를 나타낸 것도 있다.

기형(器形)은 단지·항아리·주발·보시기·가마·시루 등과 그 외에 병·솥 등 다양하다. 철기시대인 한대(漢代)가 되면, 와질토기는 실용의 토기보다도 [副葬品]인 명기(明器)에 많다. 와질토기가 더욱 고온(高溫)으로 구워지면 경도(硬陶)가 되어, 표면의 회가 녹아 자연유(自然釉)가 생겨 점차 본격적인 도기(陶器)로 발전한다.

참조항목

역참조항목

, , , ,

카테고리

  • > >

관련이미지

경주 조양동 유적 와질토기

경주 조양동 유적 와질토기 서울시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 출처: doopedi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