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화음

3화음

[ triad , 三和音 ]

요약 음악에서 어떤 음을 기초음으로 하여, 그 위에 3도나 5도의 음을 쌓아올린 화음.

전통적인 화성의 주체를 이루며 3화음의 기초를 이루는 음을 밑음[根音], 3도 위의 음을 제3음, 5도 위의 음을 제5음이라고 한다. 그 3도음정에는 장3도와 단3도의 2 종류가 있기 때문에, 양자의 배치에 따라서 다음과 같은 4종류의 3화음이 생긴다. ① 장3화음:제3음과 5음 사이가 단3도가 되는 화음으로, 밑음과 제5음 사이는 완전5도가 된다. ② 단3화음:밑음과 제3음 사이는 단3도, 제3음과 5음 사이는 장3도를 이루는 화음으로, 밑음과 5음 사이는 완전5도이다. ③ 증3화음:밑음과 3음 사이, 3음과 5음 사이가 똑같이 장3도로 된 화음으로, 밑음과 5음 사이는 증5도가 된다. ④ 감3화음:밑음과 3음 사이, 3음과 5음 사이가 똑같이 단3도를 이루는 화음으로, 밑음과 5음 사이는 감5도가 된다.

①과 ②는 모두 어울림음정만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어울림화음이라고 하며, 근대 서양음악의 가장 기본적인 화음이다. ③과 ④는 각각 증5도 및 감5도라는 안어올림음정을 포함하기 때문에 안어울림화음에 속하며, 그것을 사용할 때에는 특정한 제한이 따른다. ①은 주로 장음계 곡에, ②는 주로 단음계 곡에 쓰이며, ③은 탁하고 불안한 느낌을, ④는 칙칙하고 불안한 느낌을 준다. 근대의 서양음악에서는 음계의 제1도 위의 화음(으뜸화음:I), 제4도 위의 화음(버금딸림화음:IV), 제5도 위의 화음(딸림화음:V)이 특히 주요한 기능을 지니며, 이것을 주요 3화음이라고 한다. 그 밖의 3화음은 버금3화음이라고 한다.

참조항목

화음

카테고리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