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관

산관

[ 散官 ]

요약 고려·조선 시대에 일정한 관직이 없고 관계(官階)만을 보유하던 관원.

산계(散階)라고도 한다. 고려의 문·무산계(文武散階)나 조선왕조의 동·서반관계(東西班官階) 제도에서는 관리는 삭직(削職)되지 않는 한 퇴관(退官)하더라도 그 품계(品階)를 보유하고 그 품계에 상당한 예우를 받았으며, 무고하게 해직된 것이 밝혀져 복직될 경우나, 언관(言官)이라는 직책상의 공죄(公罪)로 인하여 해직된 자가 복직하면 그전에 사관(仕官)한 경력을 통산하였다.

이 제도는 중국 한(漢)나라 때부터 있었으며, 청나라 때는 봉증관(封贈官)이라고 하였다.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