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단설

사단설

[ 四端說 ]

요약 중국의 맹자가 주창한 인간의 도덕적 본성에 관한 학설.

중국 전국시대(戰國時代)의 유가(儒家) 사상가인 맹자(孟子)가 주창한 인간의 도덕적 본성에 관한 학설로,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선(善)을 향한 네 가지 단서(端緖)를 마음에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 '사단(四端)'이라고 일컫는 그 네 가지 단서는 안타까운 처지에 놓인 사람을 가여워하는 '측은지심(惻隱之心)'・잘못을 부끄러워하고 싫어하는 '수오지심(羞惡之心)'・겸손히 남에게 양보할 줄 아는 '사양지심(辭讓之心)'・옳고 그름을 가릴 줄 아는 '시비지심(是非之心)'이다. 맹자는 이로부터 인(仁)・의(義)・예(禮)・지(智)의 네 가지 덕이 싹튼다고 보았으며, 이러한 사단설(四端說)을 바탕으로 인간이 본래부터 선한 본성을 지니고 있다는 성선설(性善說)을 주장했다. 때에 따라서는 '사양지심'이 '공경지심(恭敬之心)'으로 바뀌어 나타나기도 한다.

사단설은 《맹자(孟子)》의 여러 곳에서 되풀이해서 나타난다. 〈고자장구상편(告子章句上篇)〉에서 맹자는 성무선악설(性無善惡說)을 주장한 고자(告子)를 비판하면서 인간이 자신의 성정(性情)에 따르면 선해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측은지심・수오지심・공경지심・시비지심은 사람이면 누구나 가지고 있다[惻隱之心人皆有之 羞惡之心人皆有之 恭敬之心人皆有之 是非之心 人皆有之]"고 강조하며, "측은지심은 인, 수오지심은 의, 공경지심은 예, 시비지심은 지[惻隱之心仁也 羞惡之心義也 恭敬之心禮也 是非之心智也]"라고 했다.

〈공손추장구상편(公孫丑章句上篇)〉에서는, 인간은 모두 남의 고통을 차마 지나치지 못하는 '불인인지심(不忍人之心)'을 가지고 있다고 보았다. 어린아이가 우물에 떨어지려는 것을 보면 누구나 저절로 놀라며 측은한 마음을 지니게 된다는 것을 예로 들며, "측은지심・수오지심・사양지심・시비지심이 없으면 사람이라고 할 수 없다[無惻隱之心非人也 無羞惡之心非人也 無辭讓之心非人也 無是非之心非人也]"고 강조했다. 아울러 이를 바탕으로 "측은지심은 인, 수오지심은 의, 사양지심은 예, 시비지심은 지의 단서[惻隱之心仁之端也 羞惡之心義之端也 辭讓之心禮之端也 是非之心智之端也]"이며, "사람이 이 사단을 지니고 있는 것은 사지를 지니고 있는 것과 같다[人之有是四端也 猶其有四體也]"고 하였다.

참조항목

맹자, 성선설

카테고리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