뽕나무과

뽕나무과

[ Mulberry Family, Fig Family ]

요약 속씨식물 쐐기풀목의 한 과이며, 1100여 종이 열대와 온대에 걸쳐 전 세계에 분포한다.  초본, 관목, 덩굴나무 또는 교목으로, 암꽃과 수꽃이 따로 핀다. 암꽃의 암술은 대개 심피 2개로 이루어지며, 배주 1개가 정단태좌에 달린다. 열매는 여러 개의 수과가 한 개의 열매처럼 배열하여 성숙하는데, 분류군에 따라 넓은 복합 꽃턱(화탁)에 달리거나 주머니처럼 생긴 육질의 꽃턱 안에 은화과(대표적으로 무화과)로 달린다.
산뽕나무

산뽕나무

학명 Moraceae
식물
속씨식물
쌍떡잎식물
쐐기풀목
분포지역 열대와 온대에 걸쳐 전 세계에 분포
서식장소/자생지 저지대의 초지, 경작지, 숲속, 숲 가장자리, 산 사면, 계곡

씨식물 쐐기풀목의 한 과로 APG IV 시스템에 따르면 뽕나무과는 진정쌍떡잎식물-장미목(Rosales)으로 분류된다. 약 40속, 1100여 으로 구성되며, 열대와 온대에 걸쳐 전 세계에 분포한다. 주요 속으로는 뽕나무속(Morus), 무화과나무속(Ficus), 빵나무속(Artocarpus) 등이 있다. 

가치 및 활용

빵나무[Artocarpus altilis (Parkinson) Fosberg], 무화과(Ficus carica L.), 뽕나무속(Morus) 종류 등의 열매는 식용으로 활용하기도 한다. 뽕나무(Morus alba L.)의 경우 잎을 누에의 먹이로 사용한다. 과 내 일부 종은 종이, 고무, 목재를 얻는 데 활용되며, 일부 무화과속 식물은 원예용이나 조경으로도 이용한다.

특징

초본, 관목, 덩굴나무 또는 교목이고, 암수한그루(자웅동주) 또는 암수딴그루(자웅이주)이며, 유액을 생성하는 유관이 존재하는 경우가 많다. 일부 종에는 지상부 줄기에서 생성된 막뿌리가 식물체를 지지하기도 한다. 잎은 홑잎이고, 어긋나게 나선상으로 배열하거나 마주나며, 턱잎이 있다. 꽃차례는 가지와 잎 사이에 달리고, 수상꽃차례, 총상꽃차례, 두상꽃차례, 은둔꽃차례 등 다양하다. 꽃은 암꽃과 수꽃이 따로 핀다. 암꽃은 대개 심피 2개로 이루어지며, 배주 1개가 정단태좌에 달린다. 열매는 여러 개의 수과가 한 개의 열매처럼 배열하여 성숙하는데, 분류군에 따라 넓은 복합 꽃턱(화탁)에 달리거나 또는 주머니처럼 생긴 육질의 꽃턱 안에 은화과(대표적으로 무화과)로 달린다. 무화과나무속의 경우 말벌류가 꽃가루받이를 하며, 종 특이적으로 정교하게 작동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 분포

한국에는 뽕모시풀속, 꾸지뽕나무속, 뽕나무속, 닥나무속, 무화과나무속 총 5속 13종이 분포하며, 대표적인 종으로는 뽕모시풀, 닥나무, 꾸지뽕나무, 산뽕나무, 천선과나무 등이 알려져 있다.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