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황

비황

[ 備荒 ]

요약 흉년에 대비하여 미리 준비를 해두는 일.

농본주의 국가인 한국 ·중국에서는 예로부터 흉년에 대한 구제정책이 중시되었고, 그것을 황정(荒政)이라고 일컬었다. 원래는 중국 수(隋)나라에서 시작된 것으로, 한국에서는 삼국시대부터 춘궁기(春窮期)에 백성에게 곡식을 나누어주고 추수 때 거두어들이는 제도가 있었다.

고려시대에는 흑창(黑倉)을 두어 빈민을 구제하였고, 986년(성종 5) 흑창을 의창(義倉)으로 개칭하여 여러 지방에 설치하였다. 조선시대에는 고려의 제도를 그대로 계승하였는데, 관리의 농간과 백성의 낭비로 점차 폐단이 생기자 세종은 사창(社倉)을 따로 설치하였고, 문종 때에는 이를 의창과 분리하여 독립된 기구로 운영하였다.

중종 때는 의창을 폐지하고 진휼청(賑恤廳)을 설치하여 구호사업을 통일하였다. 고려시대의 의창은 관곡(官穀)을 주로 하는 것이었지만 그것만으로는 구호의 기능을 발휘하기 어렵자, 1663년(현종 4) 일반 백성에게서 양곡을 징수하여 보충하였다.

참조항목

환곡

역참조항목

의창

카테고리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