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투명판유리

불투명판유리

[ 不透明板琉璃 ]

요약 보통 판유리를 성형한 후 표면을 거칠게 하여 불투명하게 만든 판유리로 무광택유리라고도 한다. 유리 전면(全面)을 거칠게 한 것, 또는 거친 면에 무늬를 만들어 공예적으로 사용하는 것 등이 있는데, 이를 위해 물리적, 화학적 방법을 사용한다. 보통 유리의 한쪽 면만을 거칠게 한다.

무광택유리라고도 한다. 유리 전면(全面)을 거칠게 한 것, 또는 거친 면에 무늬를 만들어 공예적으로 사용하는 것 등이 있다. 표면을 거칠게 하는 방법에는 물리적 방법과 화학적 방법이 있다. 물리적인 방법은 금강사(金剛砂)나 규사(硅砂) 등을 압축공기로 내뿜는 샌드블라스트(sandblast)로 갈거나, 금강사와 물을 사용하여 금속성 브러시로 유리 표면을 문지르는 것이고, 화학적인 방법은 유리 속의 성분인 규산염플루오린화수소산이 분해하여 부식시키는 성질을 이용해 표면을 거칠게 하는 것이다.

표면에 무늬를 만들 경우에, 물리적 방법은 무늬를 낸 금속판이나 고무판을 유리 표면에 밀착시킨 후 샌드블라스트로 가는 것이고, 화학적 방법은 미리 유리 표면에 파라핀 등을 칠해 놓고 거칠게 할 부분을 철필 등으로 깎아 그 부분만이 부식시켜 무늬가 나타나게 만드는 것이다. 보통은 유리의 한쪽 면만을 거칠게 한다.

참조항목

판유리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