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산 불굴사 삼층석탑

경산 불굴사 삼층석탑

[ Three-story Stone Pagoda of Bulgulsa Temple, Gyeongsan , 慶山 佛窟寺 三層石塔 ]

요약 경상북도 경산시 와촌면 강학리 불굴사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화강석 석탑. 1965년 9월 1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경산 불굴사 삼층석탑

경산 불굴사 삼층석탑

지정종목 보물
지정일 1965년 9월 1일
소재지 경상북도 경산시 와촌면 강학리 산55-9번지 불굴사
시대 통일신라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크기 높이 7.43m

1965년 9월 1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7.43m이다. 2중 기단 위의 사각 3층석탑으로 전형적인 신라 석탑의 양식을 따르고 있다.

1변 2장씩의 장대석(長臺石)으로 좁은 탑구(塔區)를 설정하고 그 안에는 좌우에 장대석을 놓았으며, 전후에는 그 사이에 끼도록 사방 1석씩의 지대석을 놓았다. 갑석(甲石)은 평박(平薄)한 편으로 밑에는 좁은 부연(附椽)이 있고 윗면에는 가벼운 경사를 이루었으며, 중앙에는 하층 기단 갑석에서와 같이 큼직한 호형(弧形)과 형식적인 각형(角形)의 2단 몰딩이 있다.

탑신부는 옥신(屋身)과 옥개석(屋蓋石)이 각각 1석으로 되었으며 각층 옥신에는 우주형(隅柱形)이 조각되었을 뿐 다른 조식은 없다. 옥개석은 평박한 편이고 받침은 각층 4단으로 감소되었으나 추녀 밑은 수평이다.

상륜부(相輪部)에는 노반(露盤)과 복발(覆鉢)만이 남아 있는데, 노반은 2단의 갑석형이 있는 통식(通式)이며 복발은 조식이 없는 반구형(半球形)으로 형식적이다.

규모의 축소, 옥개 전각(轉角)의 지나친 반전(反轉), 상하기단 갑석의 호형 몰딩의 지나친 강조 등으로 미루어 신라 후기의 것으로 추정된다.

참조항목

와촌면, 불굴사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