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자

부정자

[ 副正字 ]

요약 조선시대 승문원의 외교문서 검토와 교정, 교서관의 서적 교정과 제향의 축문 필사·검토를 맡아 보던 종9품 직제.
구분 직제
설립일 1411년(태종 11)
주요활동/업무 외교문서·서적 검토와 교정, 축문 필사·검토
규모 승문원·교서관 각 1인

부정자의 직제가 생긴 것은 1411년(태종 11) 기존의 문서응봉사(文書應奉司)를 승문원(承文院)으로 개편하면서부터다. 처음에는 종9품 1인을 두었으나 1466년(세조 12) 직제를 개편하면서 1인을 더하여 조선시대 후기까지 존속하였다.

위로 정3품 판교, 종3품 참교, 종4품 교감 2인, 종5품 교리, 정6품 교감, 정7품 박사, 정8품 저작, 정9품 정자가 있었고, 바로 위의 직급인 정9품 정자(正字)와 함께 다른 나라에 보내는 외교문서를 검토하고 교정하는 일을 맡았으며, 일정한 녹(祿)을 받는 녹관(祿官)이었다.

교서관(校書館)에 두었던 부정자는, 1466년 관제 개편 때 전교서(典校署)로 고치면서 기존의 교감은 정자로, 정자는 부정자로 바뀌었다.

승문원에서와 마찬가지로 정자와 함께 일하면서 궁중 간행물을 교정하고, 크고 작은 국가 제례축문을 필사하거나 검토하는 일을 맡았으며, 대궐 정전(正殿)과 가까운 향실(香室)에서 참하관들과 차례를 돌아가면서 숙직 근무를 하였다. 역시 일정한 녹을 받았다.

1782년(정조 6) 규장각 외각에 통합되었다가 1895년(고종 32) 교서사(校書司)로 분리되면서 부정자의 직제도 주사(主事)로 바뀌었다.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