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주 부석사 소조여래좌상

영주 부석사 소조여래좌상

[ Clay Seated Buddha of Buseoksa Temple, Yeongju , 榮州 浮石寺 塑造如來坐像 ]

요약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 북지리 부석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상. 1962년 12월 20일 국보로 지정되었다.
영주 부석사 소조여래좌상

영주 부석사 소조여래좌상

지정종목 국보
지정일 1962년 12월 20일
소재지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 북지리 149 부석사
시대 고려 중엽
종류/분류 유물 / 불교조각 / 소조 / 불상
크기 높이 2.78m

1962년 12월 20일 국보로 지정되었다. 부석사 무량수전에 있는 소조불상으로 높이는 2.78m이다. 무량수전의 건물이 앉은 자리는 남쪽을 향하고 있는데 이 불상만 동향(東向)인 점이 특이하다. 소조불상이란 우선 나무로 골격을 만들고 진흙을 덧붙여 만드는 것으로, 이 불상은 우리나라에 남아 있는 소조불상 가운데서 가장 크고 오래된 것으로 그 가치가 높다.

나발(螺髮) 머리 위에는 육계(肉髻)가 큼직히 솟아 있다. 얼굴은 살이 붙어 덕스럽고 가는 눈썹과 반쯤 뜬 눈, 우뚝한 코에서는 위엄이 느껴지며 두터운 입술에서 고려 불상의 특징을 엿볼 수 있다. 양쪽 귀는 긴 편이며, 목의 삼도(三道)는 깊게 패어 있다. 법의(法衣)는 오른쪽 어깨를 드러내고 왼쪽 어깨에만 걸쳐 입은 우견편단(右肩偏袒)이며, 옷주름은 거의 평행으로 촘촘히 표현되었다.

특히 무릎 아래로도 촘촘한 옷주름이 평행을 이루며 밖을 향하여 흘러내렸는데, 이러한 양식은 865년(신라 경문왕 5)에 만들어진 철원 도피안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鐵造毘盧舍那佛坐像)에서도 나타나고 있어 고려 초기의 불상 계열임을 짐작할 수 있다. 손가락은 무릎 위에 올린 오른손의 손끝이 땅을 향한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을 하고 있다.

불상의 뒤편에는 나무로 만든 광배(光背)가 있는데 가장자리에는 날카롭게 타오르는 불꽃 모양으로 되어 있다. 신광(身光)과 두광(頭光) 모두 원형이며 안쪽에는 보상화무늬를 화려하게 장식하였다. 대좌(臺座)는 앞면 너비 2.37m, 측면 너비 2m, 높이 1.05m의 흙과 돌을 섞은 수미단(須彌壇) 원형이 남아 있으나, 무릎 아래로 후세에 만든 나무 불단이 설치되어 있어 밖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신라시대의 불상의 특징인 온화함 대신 위엄이 넘치며 긴장된 모습을 하고 있지만, 고려시대의 불상으로서는 상당히 정교한 솜씨를 보여주는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