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모당

봉모당

[ 奉謨堂 ]

요약 조선 후기 규장각(奎章閣)의 역대 선왕의 유품을 보관하던 전각.
창덕궁 봉모당

창덕궁 봉모당

1776년(정조 즉위) 정조는 규장각을 설치하면서 중심건물인 주합루(宙合樓)에 정조 자신의 왕위에 관련되는 어진(御眞) ·어제(御製) ·어필(御筆) ·보책(譜冊) ·인장(印章) 등을 보관하도록 하고, 본래 이곳에 봉안되었던 역대 선왕들의 유품들, 즉 어제 ·어필 ·어화(御畵) ·고명(顧命) ·유고(遺誥) ·밀교(密敎) 및 선보(璿譜) ·세보(世譜) ·보감(寶鑑) ·지장(誌狀) 등을 옛 열무정(閱武亭) 건물로 옮기고 이곳을 봉모당이라고 이름지었다. 창덕궁 북원(北苑) 주합루의 남서쪽에 위치하였으며, 지금도 그 건물이 남아있다.

1857년(철종 8) 1월에 규장각의 본부인 이문원(摛文院)의 부속건물 대유재(大酉齋)로 옮겼다. 정조가 죽은 뒤 규장각의기능이 크게 약화되면서 가장 중요한 기능으로 남은 역대 왕들의 어제 관리를 좀더 쉽게 수행하기 위한 것이었다. 1908년 규장각의 기구가 새로 마련되면서 이곳의 업무는 전모과(典謨課)에서 관할하였다. 1911년 창덕궁 옛 이문원의 대유재와 소유재(小酉齋) 자리에 규장각 건물을 새로 지으면서 봉모당 건물도 일본식으로 다시 지어 보첩류를 제외한 왕실자료를 보관하였다. 1969년 7월 이 건물을 철거하고 장서를 창경궁 장서각(藏書閣)으로 옮겼으며, 1981년에 다시 한국학중앙연구원으로 이관하였다.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