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족류

복족류

[ Gastropoda , 腹足類 ]

요약 연체동물문의 가장 큰 강(綱)으로 7만 5000여 종이 알려져 있다. 몸은 발달한 머리와 넓고 편평한 포복성인 근육성 발이 있다. 성체는 비대칭형이고 대부분 나사 모양으로 된 껍데기를 가지지만 없는 것도 있다. 머리와 발은 견인근(牽引筋)에 의하여 껍데기 속으로 움츠러든다. 대부분의 종들은 아가미로 호흡하나, 공기호흡에 알맞게 외투막이 변형되어 폐로 된 것도 있다. 식용으로는 소라와 전복 등이 있다.
복족류가 섞인 사암

복족류가 섞인 사암

유두류(有頭類:Cephalophora)라고도 한다. 대부분 해산이나, 민물과 육상에서도 산다. 연체동물에서 가장 큰 강이며, 75,000여 이 알려져 있다. 몸은 잘 발달한 머리와 넓고 편평한 포복성인 근육성 발이 있다. 성체는 몸이 비틀어짐으로써 비대칭형으로 된다. 껍데기는 적어도 유생 때에는 나사 모양으로 감긴다. 성체는 대부분 나사 모양으로 된 1장의 껍데기를 가지지만 민달팽이군소와 같이 껍데기가 없는 것도 있고, 삿갓 모양의 껍데기를 가진 것도 있다. 머리와 발은 견인근(牽引筋)에 의하여 껍데기 속으로 움츠러든다. 나사 모양의 껍데기를 가진 것들 중에는 발의 등쪽 표면에 각질로 된 덮개판이 있는 것이 많다. 이 덮개판은 껍데기의 구멍에 꼭 맞게 되어 있어 몸을 보호하는 데 이용된다. 대부분의 종들은 아가미로 호흡하나, 공기호흡에 알맞게 외투막이 변형되어 폐로 된 것도 있다.

복족류가 먹이를 얻는 방식에는 초식성인 것, 육식성인 것, 부식성(腐食性)인 것, 퇴적물을 먹는 것, 현탁물을 먹는 것 등 여러 가지이며, 보통 먹을 때에는 치설(齒舌)을 사용한다. 복족류는 특히 벨리저 유생 단계와 새로 정착된 어린 새끼 때에 많은 동물들의 먹이가 되며, 주된 포식자는 물고기·물새·포유동물들이다. 육상 달팽이류는 새·도롱뇽 및 작은 포유동물 등의 먹이가 된다.

복족류 중에는 소라·전복 등 많은 종류가 식용된다. 복족류는 전새류(前鰓類:전복 Nordotis discus, 소라 Batillus cornutus, 다슬기 Semisulcospira libertina 등), 후새류(後鰓類:민칭이 Bullacta exarata, 군소 Aplysia kurodai 등), 유폐류(有肺類:달팽이 Acusta despecta siboldiana 등)의 3아강으로 나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