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화영험전

법화영험전

[ 法華靈驗傳 ]

요약 고려 말기의 승려 요원(了圓)이 《법화경》의 영험 사례를 모아 엮은 책.
구분 목판본
저자 승려 요원(了圓)
시대 고려 말기

목판본. 2권 1책. 《법화경》을 수지(受持) ·암송 ·필사(筆寫) 또는 강설(講說)함으로써 생긴 갖가지 영험들의 실례를 중국과 한국, 그리고 여러 경전과 논서에서 발췌하여 편집한 책이다. 즉 당나라 혜상(慧詳)의 《홍찬전(弘贊傳)》, 송나라 종효(宗曉)의 《현응록(現應錄)》, 고려시대의 《해동전홍록(海東傳弘錄)》 등에서 107개를 뽑아 엮은 것이다. 영험설화를 담고 있는 이 책은 《법화경》 각 품(品)의 내용과 관련지어 상권 9단, 하권 8단, 전체 17단으로 구성하고 있다. 그 대부분이 고려 진정국사(眞靜國師) 저서로 《해동전홍록》에 전해지던 내용들이고 중국의 설화가 대다수를 차지하지만, 한국의 설화도 19편이나 들어 있으며, 이 중에는 중국문헌에 나타난 신라 설화도 3편이 수록되어 있다.

이 책은 고려시대 법화신앙을 알게 하는 주요한 자료일 뿐 아니라, 저자가 일반 서민들을 위한 포교 교재로 사용하기 위하여 이 책을 저술한 것으로도 추정된다. 또한 현재 전해지지 않고 있는 진정국사의 《해동전홍록》 4권의 내용도 어느 정도 알 수 있어, 신라와 고려 승려들의 생애와 설화 연구에도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현존 판본으로는 ① 전라도 고창 문수사판(文殊寺板, 1534), ② 함경도 석왕사판(釋王寺板, 1544)을 개판한 경기도 화성 만의사(萬義寺)의 복간본(1544), ③ 전라도 보성 개흥사판(開興寺板, 1652), ④ 1931년 조선불서간행회에서 문수사판을 저본(底本)으로 하여 발간한 영인본과 76년 단국대학에서 개흥사판을 영인한 것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