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선

버선

요약 무명·광목 등으로 만들어 발에 꿰어 신는 것.
타래버선

타래버선

한국 특유의 것이며 남녀 모두 신었는데, 문헌상으로는 말(襪)·족의(足衣)·족건(足件) 등으로 표현되어 있다. 1527년(조선 중종 22) 최세진(崔世珍)이 쓴 《훈몽자회(訓蒙字會)》에는 보션말이라고 씌어 있는 것으로 그 이전부터 보션이라 불리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처음에는 발을 보호하는 수단으로 보자기 같은 것을 이용하여 감싸던 것이 점차 발달하여 오늘날의 고들목버선에까지 이르렀다. 모양은 끝(버선코)이 뾰족하여 위로 치켜졌고, 들어가는 부분(버선목)에 비해 회목이 조금 좁게 되어 있는데, 버선목의 바느질 눈이 오른쪽으로 된 것은 오른발, 왼쪽으로 된 것은 왼발에 신어 좌우를 구별한다.

버선 본문 이미지 1

종류는 용도에 따라 일반용과 예복용, 형태에 따라 곧은버선(고들목버선)과 누인버선, 만드는 방법에 따라서 홑버선·겹버선·솜버선·누비버선 등이 있다. 그 밖에 어린이용의 타래버선·꽃버선이 있다.

예복용

단국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적의용(翟衣用) 청말(靑襪)을 예로 들어 보면, 보통 버선보다 크고 끈이 버선목 끝에 겹으로 달렸으며 적의의 옷감과 같은 색인 청색 비단으로 안팎이 되어 있다.

또 통일신라 제42대 흥덕왕(興德王) 때의 복식금제(服飾禁制)에 의하면 버선에 끈이 달려 있고 고급비단인 금(錦)·나(羅)·명주·시(絁), 작은 무늬가 있는 능[小紋綾] 및 모직물인 계(罽) 등으로 만들어졌다고 되어 있다. 또한 왕이 종묘와 사직에 제사지낼 때 입는 면복(冕服)에는 적말(赤襪)을, 조복(朝服)에는 백색말을, 왕비가 혼례 때 입는 적의에는 청색말을 신는다고 되어 있다.

일반용

곧은버선은 수눅선이 곧게 내려오다가 버선코만 살짝 올라가고 회목에 여유가 있는 것으로 서울을 중심으로 한 지방에서 주로 신었고 누인버선은 수눅이 누인 것 같은 곡선을 이루며 회목이 꼭 끼이는 것인데, 남쪽과 북쪽 지방에서 신었다. 조선 중기 이전의 실물로 보아 발 모양 위주로 편하게 신었던 것이 김홍도와 신윤복의 풍속도에서 보면 맵시 위주로 변하게 되었다.

맵시를 내기 위해 실제 발 크기보다 작게 만들고 솜을 통통하게 넣어 오이씨 같은 버선의 맵시를 내게 되었다. 색은 주로 흰빛이었고 광목과 무명을 주로 사용했으며 일년 내내 신었는데, 처음에는 솜버선을 삼복더위에도 신다가 홑버선과 겹버선을 신었다. 오늘날에는 양복과 양장을 주로 입고 그에 따라 양말을 신기 때문에 버선의 수요는 점차 줄어들고 있으나 한복에는 새하얀 버선을 곱게 신어야 맵시가 난다.

참조항목

오목버선

역참조항목

광목

카테고리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