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러

버러

[ borough ]

요약 영국의 특권(特權)도시 또는 국회의원 선출자격을 지닌 자치(自治)도시.

‘성벽에 둘러싸인 땅’을 뜻하는 버러(burh)에서 유래된 말로, 처음에는 성채가 있는 요충지(要衝地)를 가리켰던 것 같다.

10세기의 버러는 셔(shire:州)나 헌드레드로 구성되는 일반행정체계에서 독립된 존재로서 독자적인 법정(法廷)을 갖는 특수지구였다. 11세기 노르만 정복 이후의 버러는 대륙도시의 영향을 받아 경제활동도 활발해져서, 왕의 특허장(特許狀)으로 자치와 독립을 인정받은 중심도시가 되었으며, 그 주민들은 장원적(莊園的) 속박에서 해방되고 경제적 특권으로서 통행세(通行稅)의 면제, 시장(市場)의 개최권(開催權), 무역관리권(貿易管理權) 등을 승인받았다.

헨리 3세 이후 의회에 대표를 보내는 선거구로서의 새로운 중요성을 가졌는데, 17세기 말에는 잉글랜드의 200개의 버러가 하원의원의 80%를 선출하였다. 그 후 점차 인구가 줄어들었으나 선출의원 정수는 변함이 없었고, 이 같은 모순의 제거가 산업혁명 후의 새로운 정세 속에서 선거법개정의 초점이 되어, 1832년 인구 2,000명 이하의 56개 시(市)가 대의권(代議權)을 잃었고, 4,000명 이하의 36개 시가 의원정수 1명으로 제한되었다. 1835년 지방자치체법(地方自治體法)으로 버러는 전국의 획일적인 지방자치제에 의한 새로운 지방정치의 한 단위가 되었다.

역참조항목

자유도시

카테고리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