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사집

백사집

[ 白沙集 ]

요약 조선 중기의 명상(名相) 이항복(李恒福)의 시문집.
구분 시문집
저자 이항복
시대 1726년

목판본, 30권 15책이다. 1726년(영조 2)에 5대손 종성(宗城)이 인조 초 이현영(李顯英)·이명준(李命俊)이 간행한 강릉본(江陵本)과 정충신(鄭忠臣)이 간행한 진양본(晋陽本)을 합치고, 여기에 일문(逸文) 15편, 유시(遺詩) 40여 수를 추록하여 간행하였다.

권1∼4는 시(詩), 권5∼8은 차(箚), 권9∼12는 계(啓), 권13∼14는 의(議), 권15는 잠(箴)·명(銘)·서(序)·기(記)·발(跋), 권16은 잡저(雜著), 권17∼22는 지장(誌狀)·유사(遺事), 권23은 제문(祭文)·서독(書牘), 권24는 조천기문(朝天記問)·조천일승(朝天日乘) 등으로 되어 있고, 나머지는 부록으로서 연보(年譜)·가장(家狀)·비명(碑銘)·묘표(墓表)·사제문(賜祭文)·제문(祭文)·만사(輓詞)·화상찬(畵像贊)·서원상량문(書院上樑文) 및 친지·후학(後學)들이 찬술한 기(記)·지(識) 등이 실려 있다. 책머리에 1624년(인조 2)에 장유(張維)가 쓴 서문, 책끝에는 1635년(인조 13)에 역시 장유가 쓴 중간발문이 있다.

참조항목

이항복, 문집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