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1963)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1963)

[ Gilt-bronze Pensive Maitreya Bodhisattva , 金銅彌勒菩薩半跏思惟像(1963) ]

요약 삼국시대의 동조도금(銅造鍍金) 미륵보살상. 1963년 1월 21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1963)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1963)

지정종목 보물
지정일 1963년 1월 21일
소장 국립중앙박물관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시대 삼국시대
종류/분류 유물 / 불교조각 / 금속조 / 보살상
크기 전체 높이 28.5cm, 불상 높이 21.2cm

1963년 1월 21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전체높이 28.5cm, 불상 높이 21.2cm.

반가사유상(半跏思惟像)으로 얼굴이 정적(靜的)이고 심각하다. 길고 수척한 얼굴에 눈꼬리를 치켜올려 미소를 없앰으로써 그 심각성은 더욱 두드러진다. 머리에는 큼직한 보계(寶髻)가 족두리처럼 얹혀 있을 뿐 보관(寶冠)은 없어졌으나 보관을 장식하였던 구멍은 남아 있으며, 보발(寶髮)은 양쪽 어깨까지 늘어져 있다. 연화좌(蓮華座)에 걸터앉아 왼쪽 다리만 내리고 오른쪽 다리는 접어서 왼쪽 무릎에 얹었으며 오른손을 들어 두 손가락을 가볍게 뺨에 대고 있는 이 불상은 유난히 가늘고 길어 극도의 추상성을 표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양식은 몸에 비해 지나치게 무거운 듯한 달개[瓔珞]가 X자로 교차한 것이라든가 나형(裸形)의 상체 양어깨를 가린 도식화된 천의(天衣) 자락이며 옷무늬가 전혀 없는 하체의 의상 등에도 나타나 있다. 연화좌에는 길고 장식적인 복련화(覆蓮華)가 조각되었으며, 판단(瓣端)에서 길게 올라온 자방(子房)은 왼발을 얹는 족대(足臺)가 되어 있다. 대좌 하부는 4각형이며 각 면에 2개씩의 안상(眼象)이 투각(透刻)되어 있고 일부는 떨어져 없어졌다. 머리 뒤에는 두광(頭光)을 꽂았던 고다리만 남았고 두광은 없어졌다. 전체적인 양식으로 보아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의 수법이 바탕을 이룬다.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역참조항목

대좌, 반가사유상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