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차 왕자의 난

제1차 왕자의 난

[ 第一次王子─亂 ]

요약 1398년(태조 7) 왕위계승권을 둘러싸고 일어난 왕자 사이의 싸움.

방원(芳遠)의 난, 정도전(鄭道傳)의 난, 무인정사(戊寅定社)라고도 한다. 이성계(李成桂)의 조선 개국(開國)에 공이 컸고 그가 태조가 된 뒤에도 신임이 두터웠던 창업공신(創業功臣) 정도전 일파와, 그들에게 못지않은 공을 세운 태조의 제5왕자 방원 일파 사이의 권력다툼에서 일어났다. 태조에게는 8왕자가 있었는데, 6왕자는 전비(前妃) 한씨(韓氏) 소생이고, 2왕자는 계비(繼妃) 강씨(康氏) 소생이었다. 태조 즉위 후 세자 책봉 문제가 일어나자, 태조는 계비 강씨의 뜻에 따라 태조의 제8왕자인 방석(芳碩)을 세자로 삼았는데, 이 같은 조처를 정도전·남은(南誾)·심효생(沈孝生) 등이 지지하였다. 이렇게 되자 방원은 크게 분개하였다.

첫째는 전비 한씨의 소생이 세자 책봉에서 무시당하였다는 점도 있었으나, 창업공신으로서의 자신의 공로를 인정해 주지 않은 데 대한 불만이 더 컸다. 방원 일파와 정도전 일파 사이의 알력은 점차 심각해져, 1398년 마침내 두 파 사이에 싸움이 벌어졌다. 그 동안 정도전은 세자 방석의 보도(輔導) 책임까지를 지고 있어 세력이 당당하였으며, 남은·심효생 등도 강한 권력을 쥐고 있었다. 방원은 정도전 등이 태조의 병세가 위독하다고 속이고 여러 왕자를 궁중으로 불러들인 뒤 일거에 그들을 죽이려 했다고 트집잡아, 사병(私兵)을 동원하여 정도전 등을 불의에 습격하여 모두 죽이고, 세자 방석을 폐출(廢黜)하여 귀양보내는 도중에 죽이고, 방석과 동복(同腹)인 방번(芳蕃)까지도 살해하였다.

이 변란이 일어나자 역시 창업공신의 한 사람인 조준(趙浚)은 정도전 ·남은 등을 논죄(論罪)하였고, 정세 판단이 빠른 방원은 세자의 자리가 당연히 자기에게로 돌아올 것이었으나, 이를 굳이 사양하고 태조의 제2왕자인 방과(芳果)에게 양보하였다. 태조는 이 변란에서 두 아들과 사위까지를 잃어 크게 상심하고 마침내 1398년 9월에 왕위를 세자인 방과(정종)에게 물려 주었다. 조선 건국 초기에는 왕자들도 사병을 거느리고 있어, 이것이 왕자의 난을 일으킨 원인(遠因)이 되기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