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트호프의 계수

반트호프의 계수

[ van't Hoff's factor ]

요약 네덜란드의 화학자 J.H.반트호프가 제창한 삼투압에 관한 법칙의 계수.

농도가 c인 묽은 용액의 삼투압을 p, 절대온도를 T라고 하면, p=icRT인 관계가 성립한다. 이때 i를 반트호프의 계수라고 한다. R은 비례상수이며, 기체상수와 일치한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용질비전해질인 경우, i는 1인데, 전해질인 경우는 항상 1보다 크다. 또 그 농도 c가 감소함에 따라 i는 증가하며, 무한히 묽은 용액의 경우에는 특유한 어떤 일정한 값에 이른다.
i=1인 비전해질인 경우에는 p=cRT인 관계가 성립하는데, 이것을 반트호프의 법칙이라고 하며, 묽은 용액에서 용질의 삼투압은 이상기체가 나타내는 압력과 같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다.
반트호프의 계수는 전해질이 수용액 속에서 이온으로 해리하는 경우와 약한 전해질일 때는 희석하는 데 따라 이온화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전해질이 이온화하여 1개의 화학종 당 n개의 이온이 되는 경우에는 대략 i=1+(n-1)a가 된다. 이때 a는 이온화도이다.

카테고리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