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제상

박제상

[ 朴提上 ]

요약 신라의 눌지왕 때의 충신. 고구려와 왜(일본)에 건너가 볼모로 잡혀 있던 왕제들을 고국으로 탈출시켰으나 왜국 군에게 잡혀 유배되었다 살해당했다.
사고(佐護) 신라충신 박제상 순국비

사고(佐護) 신라충신 박제상 순국비

출생-사망 363 ~ 419
활동분야 정치

신라 눌지왕(訥祗王) 때의 충신으로서, 이름이 모말(毛末) 혹은 모마리질지(毛麻利叱智)로 기록되어 있기도 하다. 

《삼국사기》 열전의 박제상전에 따르면, 그는 박혁거세의 후손이자 파사(婆娑)이사금의 5세손이며, 파진찬 물품(勿品)의 아들이라고 한다. 벼슬길에 나아가 삽량주(歃梁州)의 간(干)으로 있던 중 눌지왕으로부터 실성왕 때 고구려와 왜국(倭國)에 볼모로 간 아우들을 데려오라는 명령을 받았다. 이에 제상은 눌지왕 2년(418)에 고구려에 사신으로 가서 장수왕을 설득해 눌지왕의 아우 복호(卜好)를 데려왔다. 또, 같은 해에 다시 왜국(倭國)으로 가 신라를 배반하고 도망쳐왔다고 속인 다음 눌지왕의 아우 미사흔(未斯欣)을 빼돌려 신라로 도망치게 하였다. 왜왕(倭王)은 그를 목도(木島)로 유배보냈다가 곧 불에 태운 뒤 목베었다. 이 소식을 전해들은 눌지왕은 제상에게 대아찬(大阿飡) 관품을 추증하고 제상의 둘째 딸을 미사흔의 아내로 삼게 했다고 한다. 

그런데 《삼국유사》에는 박제상이 아닌 김제상(金堤上)으로 적혀 있고, 이야기 내용도 조금 다르다. 눌지왕 10년(425)에 제상이 고구려로 몰래 들어가서 왕의 아우 보해(寶海)와 함께 도망나왔으며, 왜국에는 마치 신라를 배반한 사람인양 거짓 망명한 다음 왕의 아우 미해(美海)를 신라로 도망치게 하였다. 나중에 왜왕이 그 사실을 알고서 진심으로 신하가 된다면 큰상을 주겠다고 했으나 '계림(신라)의 개나 돼지가 될지언정 왜국의 신하는 될 수 없고, 계림의 형벌을 받을지언정 왜국의 벼슬과 상은 받지 않겠다'고 말해 처참히 죽었다고 한다. 

제상이라는 이름은 같은데 기록에 따라 성씨가 박(朴) 혹은 김(金)으로 서로 다르게 기재된 것은 당시 성씨를 잘 쓰지 않던 시절인데다 아버지의 성씨 뿐 아니라 어머니의 성씨를 따를 수도 있었던 탓에 어느 쪽을 따르느냐에 따라 달라졌기 때문이라는 해석이 유력하다.

한편, 《삼국유사》에는 제상의 부인이 남편을 그리워하며 세 딸을 데리고 치술령(鵄述嶺)이라는 고개에 올라가 왜국쪽을 바라보며 통곡하다가 죽어서 치술신모(鵄述神母)가 되었다는 이야기가 덧붙여져 있다. 이 이야기와 비슷한 것으로서, 그의 부인이 고개에서 남편을 기다리다가 돌이 되었다는 망부석(望夫石)설화가 민간에 전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