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목월

박목월

[ 朴木月 ]

요약 한국시인협회 회장, 시전문지 《심상(心像)》의 발행인 등으로 활동한 시인. 주요 작품으로 《경상도가랑잎》, 《사력질(砂礫質)》, 《무순(無順)》 등이 있다.
출생-사망 1915.1.6 ~ 1978.3.24
본명 영종(泳鍾)
활동분야 문학
출생지 경상북도 월성군(현 경주시)
주요수상 5월문예상 ·서울시문화상 ·국민훈장 모란장
주요저서 《문학의 기술(技術)》 《실용문장대백과(實用文章大百科)》
주요작품 《경상도가랑잎》 《사력질(砂礫質)》 《무순(無順)》

본명은 영종(泳鍾)이며, 경북 경주 출생이다. 1935년 대구 계성(啓聖)중학을 졸업하고 1939년 문예지 《문장(文章)》에 시가 추천됨으로써 시단에 등장하였다. 1953년 홍익대학교 조교수, 1961년 한양대학교 부교수, 1963년 교수가 되었다. 1965년 대한민국 예술원(藝術院) 회원에 선임되었고, 1968년 한국시인협회 회장에 선출되었으며, 1973년 시전문지 《심상(心像)》의 발행인이 되었다. 1976년 한양대학교 문리과대학장에 취임하였다.

자유문학상·5월문예상·서울시문화상·국민훈장 모란장 등을 받았다. 저서에 《문학의 기술(技術)》, 《실용문장대백과(實用文章大百科)》 등이 있고, 시집에 《청록집(靑鹿集)》(3인시), 《경상도가랑잎》, 《사력질(砂礫質)》, 《무순(無順)》 등이 있으며, 수필집으로 《구름의 서정시》, 《밤에 쓴 인생론(人生論)》 등이 있다.

박목월 연보
출생 1915.1.6~ 사망 1978.3.24

1915

1월 6일 경북 경주군 서면 모량리에서 박필준과 박인재의 장남으로 출생. 본명 박영종.

1923

건천보통학교 입학.

1930

대구 계성중학교 입학.

1935

계성중학교 졸업.

1938

유익순과 결혼.

1939

경주 동부금융조합 재직 중에 정지용에 의해 <길처럼>, <그것은 연륜이다>가 <문장> 9월호에 1회 추천. 12월호에 <산그늘>로 2회 추천.

1940

<문장> 9월호에 <가을 어스름>, <연륜>으로 추천을 완료하고 등단.

1945

대구 계성고등학교 교사를 지냄.

1946

김동리, 서정주 등과 함께 조선청년문학가협회 결성.
조선문필가협회 상임위원직 역임.
6월 박목월, 조지훈, 박두진 3인의 합동 시집 ≪청록집≫ 발간.
동시집 ≪박영종동시집≫ 발간.

1950

이화여자고등학교 교사.
<유아방>이라는 출판사를 운영하면서 ≪여학생≫, ≪중학생≫, ≪시문학≫ 간행.
6월 한국전쟁 발발 후 한국문학가협회 별동대를 조직.

1953

환도 때까지 공군종군문인단의 일원으로 복무.

1951

공군종군문인단 편수관 역임. 대구에서 출판사 <창조사> 운영.

1955

제3회 아시아 자유문학상 수상. 첫 개인 시집 ≪산도화≫ 발간.

1959

한양대학교 조교수, 부교수, 교수, 문리과대학 학장서리, 학장 역임.

1959

한국문인협회 시문과 회장.

1964

시집 ≪청담≫ 발간.

1968

국정교과서 심의회 심의위원. 한국시인협회 회장(사망 시까지 역임).
시집 ≪경상도의 가랑잎≫, 연작시집 ≪어머니≫ 발간.
≪청담≫으로 대한민국 문학상 본상 수상.

1972

국민훈장 모란장.

1973

대한민국 예술진흥위원(4년제) 역임. 시 잡지 <심상> 창간. ≪박목월자선집≫ 간행.

1975

한국문화예술진흥원 이사 역임.

1976

시집 ≪무순≫ 발간. 한양대학교 문리과대학 학장 취임.

1978

3월 24일 사망.

카테고리

  • > > >
  • > >
  • > >
  • > > >

관련동영상

박목월 생가 경북 경주시 건천읍 모량리에 있는 청록파 시인 박목월의 생가터.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