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두멍

물두멍

요약 부엌에서 물을 담아 저장하는 큰 물그릇.

물두멍은 부엌에서 물을 담아 저장하는 큰 물그릇으로 옛날에는 식수원이 부엌에서 멀리 떨어져 있었으므로 부엌 한 곳에 물을 길어다 식수(食水)를 채워두고 사용했다. 물두멍에 물을 일일이 길어다 쓰는 불편함은 있었으나 물을 담아 저장하여 사용함으로써 물을 정화시켜 쓰는 조상의 지혜를 엿 볼 수 있는 그릇이다.

물두멍의 재질은 주로 옹기로 된 것이 많았으며, 산간지방에서는 나무를 이용하여 만들기도 하였다. 주물로도 만들었으며 신식 주물로 된 것은 ‘생부리’, 구식 주물로 된 것은 ‘익부리’라 부르기도 하였다.

물두멍의 형태는 아가리에 비해 밑바닥이 좁고 배가 완만하며, 복부의 양쪽에는 튼튼한 손잡이가 달려 있다. 밑바닥이 좁은 것은 삼발이로 받침을 괴어 사용하였으며, 아가리가 넓고 큰 그릇이므로 먼지가 들어가는 것을 막기 위해 나무판자로 만든 뚜껑이나 가는 대를 엮어 짠 발을 덮어 사용하였다.

참조항목

물동이

역참조항목

한국의 식기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