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해결학습

문제해결학습

[ 問題解決學習 ]

요약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반성적 사고(reflective thinking)의 작용으로 새로운 지식이나 능력 ·태도를 습득시키는 학습방법.

계통(系統)학습에 대응된다. 계통학습이 본질주의(essentialism)에 기초를 두고 과학의 지식체계에 따르는 교과과정에 의하여 계통적으로 지식을 주입 ·전달하는 수업과정을 취하는 방식인 데 대하여, 문제해결학습은 J.듀이의 진보주의에 기초를 두고 교과를 초월한 생활 속의 현실문제로 구성된 경험과정에 의하여, 교과의 범위를 초월한 문제를 아동의 주체적 활동으로 해결하게 하는 수업과정을 택한다.

문제해결학습에서 교재는 문제의 형식으로 제시되는데 문제유형에 따라 2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하나는 문제해결법으로서 주로 사회생활속의 현실문제를 거론하는 문제단원(예:가게놀이나 동네의 위생상태 개선 등의 단원)에 대하여 전개된다. 그 수업과정은 인간이 어떤 문제에 부딪쳤을 때,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사고(듀이는 이것을 반성적사고라고 하였다)의 과정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문제의 명확화 → 가설의 설정 → 가설의 검증 → 가설의 긍정=문제해결로 이어지는 단계이다.

그리고 다른 하나는 프로젝트메서드이다. 이는 실천적 행동에 의하지 않으면 해결할 수 없는 문제를 다루는 작업단원(예:학급신문 만들기나 서진(書鎭) 제작 등의 단원)에 대하여 전개되는 것이다. 그 수업과정은 W.H.킬패트릭의 주장에 따르면 목적설정 → 계획 → 실행 → 평가의 단계로 이어진다.

이와 같은 문제해결학습은 아동의 주체적 활동을 조장시킨다는 장점이 있으나, 지식기능을 계통적으로 가르칠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어 계통학습을 주창하는 측으로부터 맹렬한 비난을 받았다. 현재는 과학의 지식체계를 존중하면서도 주입식으로 강행하지 않고, 지식을 문제의 형식으로 제시하여 아동 스스로가 해결하도록 하는 수업방식, 즉 발견적 학습이 일반화되는 경향이 있다. 이를 문제해결학습이라 부르기도 하는데, 그것은 어휘의 오용(誤用)으로 양자는 서로 구별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