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산소처리

무산소처리

[ treatment by anaerobic process , 無酸素處理 ]

요약 하수(下水)나 산업폐수를 무산소성 생물을 이용하여 분해·처리하는 방법이다.

생물환원처리(生物還元處理)라고도 한다. 하수오니(下水汚泥)·산업폐수오니·분뇨 등과 같이,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BOD)이 8,000ppm 이상인 유기성 오니를 처리하는 데 적합하다.

오니 속의 공기를 차단해 두면 오니 속의 산소가 소비되어 무산소성이 된다. 이 상태에서 무산소성 생물이 작용하여, 제1단계로 유기물이 유기산·지방산·다가(多價)알코올·아미노산 등으로 분해된다. 다음 제2단계로 메테인생성균·수소생성균·황세균의 작용에 의하여 이산화탄소·수소·황화수소·메테인·질소 등으로 분해되어, 유기성 오니의 약 1/2이 가스·수용성 물질로 된다. 일반적으로 30℃의 중온(中溫)에서 처리하며, 고온처리는 40℃ 이상에서 행하는데, 처리에는 약 30일이 소요된다.

역참조항목

슬러지, 황세균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