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권설

모권설

[ 母權說 ]

요약 고대 원시사회에서 부권(父權)의 존재에 앞서 어머니가 가정뿐만 아니라 사회의 지배권을 소유하였다는 학설.

1861년 J.J.바흐오펜이 《모권론(母權論):Das Mutterrecht》에서 최초로 주장하였다. 그의 주장에 따르면, 모권사회는 모계제(母系制)에 따라 나타나는 현상으로, 약한 여성이 우월적 존재가 될 수 있던 것은 여성이 대지(大地)의 여신을 나타낸다고 생각한 신비적 종교에 대한 적응성에 의한 것이다. 그 후 L.H.모건은 현존한 미개사회의 자료에 의해서 모권설의 논증을 시험하였다. 바흐오펜이 주장한 것처럼 모계씨족에 있어서는 어머니가 가족과 씨족의 중심이 되므로 어머니의 권위가 강화되어 소위 모권의 규범이 발생한다. 그와 같은 사회에서는 필연적으로 초서혼(招婿婚)의 결혼형태를취하였다고 생각된다. 그러므로 모계 ·모권 ·초서혼은 불가분적으로 결합되었을 것이라 추정된다. 그러나 아버지와 자식의 생리적 연결관계를 인간이 알게 되고, 또 사유재산이 발생하게 되면서 재산의 획득과 축적에 보다 능한 남성의 지배력이 증대되자 모권은 부권으로 이행하게 되었다.

참조항목

모권제

역참조항목

루이스 모건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