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 폰 린네

칼 폰 린네

요약 오늘날 사용하는 생물 분류법인 이명법의 기초를 마련한 생물학자이다.
원어명 Carl von Linné
출생-사망 1707.5.23 ~ 1778.1.10
별칭 카롤루스 리나이우스(Carolus Linaeus)
국적 스웨덴
활동분야 식물학
주요저서 《자연의 체계 Systema naturae》(1735)

1707년 5월 23일 스웨덴 웁살라에서 출생하였으며 아버지는 목사였다. 라틴어 이름은 카롤루스 리나이우스(Carolus Linaeus)이다. 그의 집안은 가난했고 아버지는 린네가 성장해서 목사가 되기를 원했다. 하지만 린네는 어려서부터 주변 식물에 관심이 많았으며 학교 공부에는 두각을 나타내지 못했다. 1727년 고등학교 스승의 추천으로 룬트(Lund)대학교에 입학하여 의학을 공부하였으며 다음 해인 1728년 웁살라대학교(Uppsala University) 의학부로 옮겼지만 그의 관심은 여전히 식물에 있었다. 당시 의학부에서는 약재로 사용하는 식물에 관한 학과정이 있었는데 그는 전공을 식물학으로 선택하여 본격적인 식물 공부를 시작하였다.

린네는 웁살라대학교에서 울로프 셀시우스(Olof Celsius) 교수의 지도를 받았는데, 그 교수는 당대 최고의 식물학자로 손꼽히는 석학이었다. 린네는 당시 최고의 발전된 생물학을 공부했으며, 특히 식물 분류에 관해 높은 식견을 가지게 되었다. 식물의 성을 구분하는 암술수술에 대한 연구와 그리고 식물번식에 대한 논문을 발표하면서 린네는 식물학계에 중요한 연구자로 부각되었다. 웁살라대학교에서 조교로 채용되어 식물학 강의를 진행했으며 린네에게 식물을 공부할 수 있는 좋은 여건이 제공되었다. 1732년 웁살라과학학회 연구보조금을 받아 라플란드(Lapland)로 식물을 채집하러 떠나기도 했는데, 이때의 식물탐사 연구는 린네에게 큰 영향을 미쳤고, 훗날 출간된 《라플란드의 식물상(1737)》의 기초가 되었다. 린네는 자신이 관심을 가지고 있었던 식물의 암수 구분과 그것을 토대로 식물의 체계적인 분류가 가능할 것이라는 생각을 진전시켜 나갔다. 1733년 웁살라대학교를 졸업하였으며 의학 학위를 취득하였다. 당시 식물학은 의학과 매우 밀접한 분야로 의학의 한 분야로 취급되었다.

1735년 네덜란드로 건너가 하르데르베이크 대학교(University of Harderwijk)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졸업 후 함부르크(Hamburg)에 머물면서 레이던대학교 의학부에서 강의하였다. 그는 영국으로 건너가 왕립학사원장이자 식물학자, 의학자로 유명한 한스 슬론 경(Sir Hans Sloane)을 만나 그의 방대한 자료를 목격하였고 첼시 피직 식물원(Chelsea Physic Garden)을 방문하여 자신의 분류법을 가르쳐주었다. 1738년 스톡홀름으로 돌아와 내과 병원을 개업했고, 1741년 웁살라대학교 의학부 교수가 되었다.

1735년 출간한 《자연의 체계(System naturae)》는 린네를 세계적인 식물학자로 알려지게 했다. 린네는 자신이 창안한 이명법(二名法, binominal nomenclature)으로 생물분류법의 기초를 확립하였다. 모든 식물을 속명(屬名, genus name)과 종명(種名, species name)으로 분류를 체계화한 것인데 모든 식물에서 피는 꽃에서 암술과 수술의 관계와 위치 그리고 갯수를 가지고 분류하였다. 식물의 학명을 속명+종명으로 하며 표기는 이탤릭체로 하였다. 린네는 이후 동물에도 똑 같은 이명법을 적용하였다. 그의 명성이 알려지면서 많은 학생들이 웁살라대학교로 모여들었으며, 1774년 강의중에 뇌일혈로 쓰러져 후유증으로 4년 후에 죽었다. 린네 사망후 그의 연구 성과물은 모두 영국으로 옮겨졌으며 영국은 린네의 연구에 많은 관심을 기울였으며 1788년 린네를 기념하는 학회가 설립되었다.

린네의 대표적인 저서 《자연의 체계 Systema naturae》외 1737년에 발간한 《식물의 속(Genera Plantarum)》, 1753년에 발간한 《식물의 종(Species Plantarum)》이 있으며 식물체계를 확립한 분류학의 보전(寶典)으로 평가받는다.

칼 폰 린네 본문 이미지 1
칼 폰 린네장 바티스트 라마르크이래즈머스 다윈휘호 더 프리스찰스 서덜랜드 엘튼용불용설생태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