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발형

두발형

[ 頭髮型 ]

요약 머리카락의 모양에 관한 분류를 말한다. 직모, 파상모, 축모의 3가지가 있다.

브로카(1824∼1880)는 두발형을 5가지, 마르틴(1864∼1925)은 11가지로 각각 분류하였다. 이를 정리하면 두발형은 직모(直毛)·파상모(波狀毛)·축모(縮毛)의 3가지 형으로 크게 분류할 수 있다.

⑴ 직모:직선모양 또는 매우 약하게 물결치는 모양의 머리카락이다. 아시아의 황색인종·에스키모·아메리카 인디언·폴리네시아인 등이 포함된다.

⑵ 파상모:물결 모양을 이루는 머리카락이며, 물결 모양의 정도는 여러 가지이다. 정도가 강한 것은 굵은 코일 모양으로 감겨 있는 경우도 있다. 백인·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인도네시아인·에티오피아인종 등에서 볼 수 있다.

⑶ 축모:매우 작게 오그라진 머리카락이며, 여기에는 오그라지기만 한 것과 나선모(螺旋毛)라고 불리는 형이 있다. 후자는 머리카락이 나선상으로 오그라들어 큰 콩알만한 크기로 조금씩 모여서 나 있는 것으로 머리카락이 몹시 강하다. 아프리카의 흑색인종·코이산인종·멜라네시아제족·파푸아제족·안다만인 등의 특징이다.

머리카락의 횡단면을 현미경으로 관찰하면, 직모는 동그란 편에 가장 가깝고, 파상모는 약한 타원형이며, 오그라든 정도가 증가될수록 편평도(扁平度)가 강해진다. 또한, 머리카락이 난 방향은 직모가 두개골에 대하여 거의 직각으로 나 있는 데 비하여 머리카락이 오그라들수록 비스듬한 방향으로 나 있다. 즉, 머리카락이 오그라드는 것은 머리카락의 모양이나 머리카락이 난 방향과도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역참조항목

멜라네시아제족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