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이

동이

[ 東夷 ]

요약 중국 동북부지방과 한국 ·일본에 분포한 종족을 중국인이 부르던 명칭.

은나라 때 인방(人方)이라는 이족(夷族) 집단이 있었고, 《죽서기년(竹書紀年)》을 비롯한 선진시대(先秦時代)의 문헌과 금석문에서 ‘동이’를 뜻하는 다양한 명칭이 발견된다. 여기에 표현된 이족과 동이족은 산둥성·장쑤성 북부 일대에 거주한 족속을 말한다.

동방을 '이'라 한다고 하였다. '이'라는 말은 산둥반도로부터 회사(淮泗) 유역에 분포된 민족 집단이 한족과 접촉하는 은(殷) 시대부터 역사에 등장한다. 그후 중국인들에게 여러 종족 개념과 방위개념 그리고 음양오행 사상이 발달함에 따라 서융(戎), 남만(蠻), 북적(狄) 등의 명칭이 나타났다. '동이'란 특정한 민족 개념이 아니라 방위개념이 첨가된 한족에 대한 상대적 개념의 동방 이민족의 범칭이다. 이 시기의 동이족에는 예(濊)·맥(貊)·한(韓) 계통의 우리 민족과 읍루와 왜족이 속하였다.

한편, 과거에 상고시대 중국 동북방에 거주한 동이족이 동쪽으로 이동하여, 한 줄기는 산둥 방면으로, 다른 한 줄기는 랴오둥과 한반도지역으로 흘러들어 갔다는 견해가 있었다. 이러한 동이족 이동설에 근거하여 기자조선(箕子朝鮮)의 실체를, 동이족의 일파인 기자족이 고조선으로 이동하여 건국한 나라로 이해한 견해도 제기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동이족 이동설은 고고학적인 증거로 뒷받침되지 않기 때문에 이를 부정하는 견해도 많다.

진나라의 통일 이전에는 황하, 회하 유역을 중심으로 한 중국 동북부와 기타 지역에 거주하는 북방 몽골리안계 종족을 지칭하였다. 그러나 진나라 통일 이후에는 산둥반도의 일부가 중국 역사에 흡수됨으로써, 발해만을 끼고 만주와 한반도에 분포한 한, 예맥 등을 동이로 지칭하였다. 즉 동이족의 범위가 상당히 동쪽으로 축소 이동한 것이다.

참조항목

남만, 북적, 서융

역참조항목

사자, 위서동이전

카테고리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