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승지

도승지

[ 都承旨 ]

요약 조선시대 승정원(承政院)의 6승지 중 수석 승지.

도령(都令)이라고도 하였다. 정3품 당상관(堂上官)이 맡았으며, 승정원의 6방(房) 중 이방(吏房)의 사무를 관장하였다. 6승지는 모두 경연참찬관 ·춘추관수찬관을 겸임하였으며, 특히 도승지는 홍문관 ·예문관직제학상서원(尙瑞院)의 정(正)을 겸임하도록 되어 있었다.

왕이 내리는 교서(敎書)나 신하들이 왕에게 올리는 글 등 모든 문서가 승정원을 거치게 되어 있어, 도승지는 왕의 비서장 격으로서 그 임무가 매우 중대하였다. 1392년(태조 1) 개국과 함께 중추원에 도승지를 두었다가, 태종 때 지신사(知申事)로 개칭하였고, 세종 때부터 승정원에 도승지 1명과 그 밑으로 좌승지 ·우승지 ·좌부승지 ·우부승지 ·동부승지의 5명을 두었다.

카테고리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