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요약 고려시대부터 서울을 중심으로 한 경기 일원에 제도적으로 설치된 나루.

강폭의 넓이에 따라 도와 진(津)으로 구분하였다. 예성강의 벽란도(碧瀾渡), 임진강의 하원도(河源渡) 등이 있었고, 한양 천도(遷都) 뒤인 조선 초기에는 한강에 한강도 ·양화도(양화진)만을 두었으나, 차차 증설되었다.

주요 목적은 인마(人馬)의 도강 또는 생활물자 등의 수송을 위한 수상교통은 물론, 범죄인의 기찰(譏察:수배 검색)을 위한 초소로서의 기능 강화 등이었다. 도마다 도승(渡丞:종9품)과 수 명의 진척(津尺:津夫, 나루사공)을 두어 관리하였으며, 이들에게는 도전(渡田)을 지급하였다.

경국대전》에 의하면 조선 중기 이후 용인~충주로 이어지는 한강도, 광주(廣州)로 가는 삼전도(三田渡), 시흥~수원으로 통하는 노도(路渡:鷺梁津), 양천(陽川)~강화도로 나가는 양화도와 낙하도(洛河渡), 벽란도, 임진도 등 7도가 있었다.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