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남 대흥사 북미륵암 삼층석탑

해남 대흥사 북미륵암 삼층석탑

[ Three-story Stone Pagoda at Bungmireugam Hermitage of Daeheungsa Temple, Haenam , 海南 大興寺 北彌勒庵 三層石塔 ]

요약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 대흥사 북미륵암에 있는 고려시대의 화강석제 석탑. 1963년 1월 21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해남 대흥사 북미륵암 삼층석탑

해남 대흥사 북미륵암 삼층석탑

지정종목 보물
지정일 1963년 1월 21일
소재지 전남 해남군 삼산면 대흥사길 400, 대흥사 (구림리) / (지번)전남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 산8-1
시대 고려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1963년 1월 21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전라남도 해남군 두륜산에 있는 대흥사 북미륵암에 조성된 석탑이다. 조성연대는 고려 초기로 추정된다.

2중기단 위의 3층석탑으로 석탑의 전형적인 형태를 띠고 있다. 기단은 지대석(地臺石) 위의 하대석과 중석(中石)을 1석(石)으로 하여 4장의 긴 돌로 짰고, 그 중석에는 우주(隅柱)와 탱주(撑柱)가 하나씩 있다. 갑석(甲石)도 4장으로 구성하였고 상층기단 중석은 1장의 돌이고, 상층기단 갑석은 1석으로 밑에는 부연이 있으며, 중앙에 1단의 괴임돌이 있어 탑신을 받치게 하였다. 탑신부는 탑신과 옥개석(屋蓋石:지붕돌)이 각각 한 장인데, 탑신부의 1∼3층은 위로 갈수록 체감되어 있고, 각기 4개의 우주를 갖추고 있다. 다소 넓은 옥개석은 받침이 1·2층은 4단, 3층은 3단이다. 상륜부(相輪部)에는 노반(露盤:탑의 맨 꼭대기 지붕 바로 위에 놓여 상륜부를 받치는 부재)이 남아 있고 다시 노반형과 앙화형(仰花形)의 석재가 놓여 있다.

이와 같이 비교적 반듯하고 전형화된 석탑이 남쪽지방에 있음은 주목할 만하다.

참조항목

해남 대흥사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