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대순환

대기대순환

[ atmospheric general circulation , 大氣大循環 ]

요약 지구 전체를 둘러싼 대기의 운동으로 장기간에 걸쳐 대기 평균상태가 이뤄지게 해준다. 지구자전, 해륙분포, 지표특성 등으로 인하여 대기대순환은 열대세포, 중위도세포, 극세포의 3개의 순환세포로 구성된다. 위도 0~30˚까지 무역풍, 30~60˚는 편서풍, 60~90˚는 극동풍이 불고, 각 풍계 사이로 적도무풍대, 아열대고압대, 한대전선이 위치한다.
해들리의 생각과 대기 대순환

해들리의 생각과 대기 대순환

지구를 둘러싸고 있는 공기의 운동은 규모에 따라서 여러 가지로 나눌 수 있다. 그 중 가장 규모가 큰 대기의 흐름이 대기대순환이다. 대기의 운동 및 대기 중의 여러 현상은 각종 에너지의 생성·소멸·전환 등에 기인한다. 특히 대순환의 유지 및 강도는 이들 에너지의 크기에 좌우된다. 대기대순환을 일으키는 근본 인자는 태양에너지이다. 적도지방의 더운 공기가 상승하고 극지방의 찬 공기가 하강하는 대류에 의해 순환이 시작되며, 이 순환에 의하여 에너지가 이동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열대지방은 입사되는 복사량이 방출되는 복사량보다 많고, 중위도와 고위도에서는 입사량보다 방출량이 많다. 단기간의 국지적인 평균값은 평형을 이루지 못하지만, 출입하는 복사량은 장시간에 걸친 전체 계(系)에서 보면 평형을 이룬다. 그 이유는 바람이나 해류에 의해서 저위도 지방으로부터 고위도 지방으로 열 수송이 있기 때문이다. 저위도대는 남은 복사량의 일부를 고위도로 수송하고 고위도지방에서는 열 수송을 받아 부족한 열량을 얻게 된다. 따라서 한대지방에서 온도가 계속 하강하거나, 적도 부근에서 계속 상승되지 않는다. 위도권을 횡단할 때 외계로 방출되는 장파복사에너지의 위도에 대한 변화는 입사되는 단파복사에너지의 위도에 대한 변화보다 훨씬 적다. 지구 전체에 걸치는 규모의 대순환에는 알류샨저기압, 아이슬란드저기압 및 아열대고기압 등과 같은 반영구적인 고기압·저기압이 이에 속한다.

대기대순환 본문 이미지 1
쿠로시오해류캘리포니아해류멕시코만류북태평양해류북대서양해류벵겔라해류브라질해류페루해류남적도해류적도반류모잠비크해류남극순환류북적도해류극 동풍극 동풍편서풍편서풍북동무역풍남동무역풍

대기대순환은 주로 이러한 소용돌이에 의해 에너지를 공급받아 유지된다. 또한 중위도지방의 간접순환의 경우는 에너지를 소모시키는 구실을 하므로 계속적인 에너지 공급이 없이는 유지될 수 없다. 편서풍대 내의 고기압·저기압은 간접순환을 유지시키는 중요한 에너지의 공급수단이 된다. 작은 규모의 운동을 제외한 지구상의 공기의 운동을 장기간의 시간간격으로 평균을 취하면, 다만 완만한 속도와 대규모의 운동만 남게 된다. 대기대순환은 바로 이 장기간의 대기의 평균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다.

대기대순환 본문 이미지 2
해들리순환극순환아열대고압대적도 무풍대극고압대(극고압부)한대 전선대편서풍남동무역풍북동무역풍편서풍극 동풍페렐순환적도적도

지구상의 풍계(風系)는 지구 자전의 영향뿐만 아니라 해륙의 분포와 지표면의 특성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고 있어서 매우 복잡한 성격을 띤다. 위도 0°에서 30° 사이에는 북동무역풍이 불고, 위도 30°에서 60° 사이에는 편서풍이, 위도 60°에서 90° 사이에는 극동풍이 분다. 또한 적도지방에는 적도무풍대, 30° 부근에는 아열대고압대, 60° 부근에는 한대전선대가 위치한다. 한편, 북반구와 남반구의 풍계는 서로 대칭을 이룬다. 이와 같이 대기대순환은 3개의 연직순환과 3개의 풍계로 되어 있다. 일사(日射)에 의해 가열된 적도의 더운 공기는 상승하여 극지방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적도지방은 저압대가 형성되며, 이 저압대 내에서는 기압경도력이 약하여 바람이 약하게 되므로 적도무풍대가 된다.

대기대순환 본문 이미지 3
해들리순환해들리순환극고압대(극고압부)한대 전선대편서풍남동무역풍북동무역풍남동무역풍북동무역풍편서풍페렐순환페렐순환편서풍극동풍극순환아열대고압대적도저압대아열대고압대극순환

북으로 이동하는 적도상의 더운 공기는 지구 자전에 의해 편향되어 상공의 편서풍을 형성하지만 이 운동은 극향성분(極向成分)을 가지며 하루에 1∼2℃ 냉각되고 북으로 이동하여 위도 30° 부근에 도달하였을 때는 이곳에서 하강기류를 형성한다. 하강기류역은 밀도가 크게 되어 아열대고압대를 형성하게 되며, 매우 건조한 지역이 되어 세계의 대부분의 사막이 이곳에 위치한다. 아열대고압대에서 불어나오는 공기는 그 일부가 적도로 되돌아가고 나머지는 고위도로 이동하게 되는데, 적도지방으로 이동하는 공기는 편향하여 북반구에서는 북동무역풍, 남반구에서는 남동무역풍이 되고 적도 부근에서 수렴하게 된다. 이 수렴대를 적도수렴대라고 하며, 계절에 따라 남북으로 다소 진동하며 많은 비를 내리게 한다.

한편, 고위도지방으로 이동하는 공기는 편향하여 편서풍이 되므로, 위도 30°에서 60°에 걸친 지역은 광범위하게 서풍이 나타난다. 적도지방과 달리 극지방은 공기의 냉각으로 인하여 극고기압이 형성되고 이 고기압으로부터 불어나오는 공기는 편향되어 극동풍을 형성하고 중위도의 편서풍과 위도 40 ∼60° 부근에서 서로 접하면서 한대전선대를 형성한다. 이 전선대는 중위도 저기압 형성역으로 부근의 여러 저기압과 더불어 많은 강수를 동반한다. 이 불연속면에 접하여 더운 공기는 상승하여 일부는 극지방으로, 일부는 저위도로 이동하게 되는데 극지방으로 이동하던 공기는 편향되어 상공의 서풍을 형성한다. 저위도지방으로 이동하던 공기는 비록 전향력이 이 공기를 동풍이 되도록 영향을 미치지만, 이미 전향력을 극복할 만큼 충분한 동향운동량을 가지고 있어서 이 지역에서의 바람은 모든 상공에서 서풍이 된다. 이와는 별도로 아열대고압대로부터 극지방에 달하는 광대한 상공 지역에 서풍이 불게 되는데 이 바람을 제트류라 한다. 제트류는 대류권의 상부나 대류 권계면 하부에서 초속 50∼100m의 속도로 일정하지 않게 좁은 폭을 가지고 분다.

결과적으로 대기대순환은 열대세포·중위도세포·극세포 등 3개의 순환세포를 가지고 있다. 열대세포와 극세포는 더운 공기의 상승과 찬 공기의 하강에 의하여 생기는 열대류인데, 중위도세포는 두 개의 직접순환에 의해 생기는 순환으로 찬 공기가 상승하고 더운 공기가 하강하는 간접순환이다. 따라서 열대류에 의한 직접순환은 위치에너지가 에너지를 만들지만, 중위도의 간접순환은 에너지 소모에 의해 유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