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수답

누수답

[ excessively percolable paddy , 漏水畓 ]

요약 물의 지하침투가 과다하여 보수상태(保水狀態)가 극도로 약한 논.

자갈이나 모래가 많고 작토(作土)가 얕은 땅 또는 제주도의 화산회토(火山灰土)와 같은 땅이다. 농업용수의 낭비가 심하고 비료의 유실이 많을 뿐 아니라 누수(漏水)가 과다하면 냉수가 항상 벼뿌리를 씻어내려 수온과 지온을 저하시키므로 식물의 온도를 낮추어 냉해(冷害)를 입기 쉽다. 토양 무기성분의 용탈(溶脫)이 심할 경우 추락(秋落)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누수답을 개량하려면 밑다짐을 하거나, 모래나 자갈이 많은 논은 진흙으로 객토(客土)를 하거나 벤토나이트(bentonite) 등 점토광물(粘土鑛物)을 투입한다. 또한 호밀 같은 녹비작물(綠肥作物)을 넣어 토양을 개량한다. 산간지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층층답에서는 논둑을 통한 누수가 문제가 되기도 하는데 논을 만들 때 논둑굳히기에 특히 주의하여야 한다. 사구지(砂丘地)나 간척지(干拓地)의 논에서는 비닐로 논바닥을 싸거나 콘크리트 논둑을 만들기도 한다.

역참조항목

냉해, 밑다짐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