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색전증

뇌색전증

[ cerebral embolism , 腦塞栓症 ]

요약 심장에서 생긴 혈전(血栓)이 벗겨져 혈중(血中)에 흘러들어 그것으로 뇌혈관이 막힘으로써 발생되는 질환.

뇌색전증은 뇌전색증(腦栓塞症)이라고도 한다. 드물게는 지방 ·조직 ·공기 ·종양세포가 막혀서 발생되는 경우도 있다. 심장의 혈전은 심방세동(心房細動)을 수반하는 동맥경화증 또는 류머티즘성 심질환(心疾患)에 의한 것이 가장 많고, 이어서 심근경색(心筋梗塞)에 의한 것, 최근에는 심장외과 수술 후에도 볼 수 있다. 또 심내막염(心內膜炎)도 흔히 나타나는데, 지방색전은 외상(外傷)을 입었을 때에, 공기색전은 수술 후에 나타날 수 있다. 색전의 부위는 중대뇌동맥(中大腦動脈)이 가장 많다. 청년기에서 중년기에 이르는 사이에서 가장 많이 발병하는데, 대부분은 심장질환을 가진 사람의 합병증으로서 나타난다. 급격히 발작하여, 몇 초에서 1분 사이에 임상증세가 극기(極期)에 도달한다. 발작시간은 주야(晝夜)를 가리지 않는다. 기타의 증세와 예후도 뇌혈전증(腦血栓症)과 동일하다. 뇌출혈에 비하여 사망률은 낮은 편이나 기초질환인 심장병으로 사망하기도 한다. 운동마비의 회복도 뇌혈전증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완전히 회복되거나 전혀 회복되지 않거나 둘 중 하나이다. 치료하는 방법도 뇌혈전증에 준한다.

뇌색전증 본문 이미지 1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