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환경

노동환경

[ labor environment , 勞動環境 ]

요약 노동자가 취업하는 직장·작업장의 물적 환경 및 인간관계 등을 포함한 제반 조건.

종전에 경영자측은 보다 많은 이윤을 얻으려는 관점에서 노동환경의 개선을 게을리하기 쉬웠고, 노동자측은 나쁜 노동조건이라도 수입만 증가하면 좋다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노동력의 재생산, 노동의욕의 저하와 정신적 황폐의 방지, 노동자의 기능향상 등을 위해서는 작업장의 안전·보건·위생 시설을 개선·정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근대의 공장제 공업은 한정된 공간에 많은 노동자를 밀집시켜 장시간 노동을 강행하기 때문에 노동자의 건강이 크게 저해되어 직업병이 많이 발생하였다. 물적환경에서 볼 때, 직장의 온도·습도·풍속·방사열 등에 의한 작업장 안의 기후, 채광·조명·색채와 작업장 안에서 발생하는 먼지·소음·진동, 유해방사선 등의 물리적·화학적 환경, 즉 가스·증기와 액체나 고체로 된 유해물질 등이 문제가 된다.

작업환경은 근로자의 건강상의 요청보다는 생산기술상의 요청이 우선되어 결정된 것인만큼, 이러한 현상은 한편으로 낮은 노동자 의식과 취약한 노동자 조직에도 그 원인이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대개 작업능률은 노동자 개인의 능력이나 의사와 관계없이 노동환경에 의해 크게 좌우되므로, 그러한 의미에서도 노동환경의 개선은 절실히 요청된다. 다행히 근로기준법 등의 시행으로 노동조건이 어느 정도는 개선되고 있지만, 아직도 개선되어야 할 부분이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