낭청

낭청

[ 郞廳 ]

요약 조선시대 후기 비변사·선혜청·준천사·오군영 등에 두었던 실무관직.

본래 낭관(郎官)과 같은 의미로 각 관서의 당하관을 가리켰으나 1555년(명종 10) 비변사가 상설기구로 바뀌어 12명의 낭청을 두면서부터 하나의 관직으로 자리잡아 뒤에 설치된 선혜청·오군영 등에도 차례로 낭청직이 설치되었다. 정규직 종6품으로 규정·직제화하였지만 고정시키지 않은 낭청직이 많이 설치되면서 정3품 당하관부터 종9품까지 폭넓게 겸직·충원되었다.
5개월 근무한 뒤 6품관으로 승진되었다.

선혜청의 낭청은 1626년(인조 4) 통합·정비되어 각 도의 대동미·대동포를 관리하는 종6품의 관원 4명을 두었다가 1750년(영조 26) 균역청을 흡수하면서 1명을 증원, 상평·진휼의 업무를 담당하게 하였다. 1760년 준천사의 낭청에는 정7품관 3명이 있었는데, 이들은 모두 한성부 참군(參軍)을 겸하였다.

오군영의 낭청은 모두 종6품으로 정조 때 이후로 종사관(從事官)이라고 불렸다. 훈련도감에 문관 1명, 음관 2명, 무관 3명 등 6명의 낭청을 두었는데 뒤에 음관 2명은 없어졌다. 어영청과 금위영의 낭청은 문·무관 각각 1명씩 임명되었고 수어청과 경리청(후에 총융청에 흡수됨)에도 각각 1명씩 낭청을 두었다.

종부시에도 2명의 겸낭청을 두었다가 1864년 종친부로 통합되면서 1명이 줄었고 1865년 비변사가 의정부에 통합되면서 비변사낭청 또한 공사관(公事官)으로 바뀌었다.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