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지도

난지도

[ 蘭芝島 ]

요약 서울특별시 마포구에 위치한 한강 하류 범람원 일대.

서울시 한강 북쪽 연안의 범람원(氾濫原)에 해당하는 지역으로, 현재 마포구 상암동에 속해 있다.

과거에는 여의도처럼 샛강으로 육지와 분리된 하중도(河中島)였으나, 도시개발 과정에서 육지와 연결됨에 따라 현재는 섬이 아니다. 과거 난꽃과 지초(芝草)가 많이 자란 데서 '난지'라는 명칭이 유래된 것으로 추정되며, 섬의 모양이 오리가 물에 떠 있는 모습과 비슷하다 하여 오리섬 또는 압도(鴨島)라고도 불렸다.

하천변의 아름다운 섬 또는 범람원이었던 난지도는 산업화와 도시화의 과정 속에서 1978년 서울시의 쓰레기 매립장으로 지정되었다. 그 후 약 15년 동안 서울시의 수많은 쓰레기가 매립되면서 해발 약 100m에 이르는 두 개의 거대한 쓰레기 산이 형성되었고, 매립 용량이 포화되면서 1993년 쓰레기 매립은 중단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난지도는 한동안 쓰레기 매립장으로서 악취와 환경오염 등의 대명사가 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우리나라가 선진국으로 진입하는 과정 속에서 국제 위상이 높아진 서울시는 난지도의 환경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세우게 되었는데, 특히 2002년 월드컵 개최와 함께 서울시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축구장의 위치를 난지도 옆으로 계획하면서 난지도는 친환경 생태공원으로의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다.

서울시를 중심으로 한 국가적인 노력으로 난지도는 몇 년 만에 '월드컵공원'이라는 생태공원으로 조성되었으며, 여러 동식물들이 찾아와 정착하고 서울시민들의 휴식공간을 형성함으로써 그 위상이 변모하게 되었다. 현재 월드컵공원 안에는 하늘공원, 노을공원, 평화공원, 난지천공원, 난지한강공원 등 5개의 테마공원이 있으며, 그 옆에는 우리나라와 서울특별시의 축구전용 구장을 대표하는 서울월드컵경기장(상암구장)이 위치하고 있다.

한편 쓰레기 매립장에서 나오는 메탄가스 등 가스를 이용한 열병합발전소도 운영하고 있는데, 이를 통해 월드컵공원 및 인근 지역에 전기 및 지역난방 에너지가 공급된다.

난지도는 불과 몇십 년 사이에 상전벽해를 이룬 지역으로, 우리나라의 산업화와 도시화 속에서 가장 극적인 지역변화의 사례로 꼽히고 있다. 또한 최악의 환경오염 지역에서 친환경 생태공원으로의 변화를 가져온 도시개발의 사례로서 의의가 있다.

참조항목

마포구, 상암동

카테고리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