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효양

김효양

[ 金孝讓 ]

요약 통일신라 원성왕(元聖王)의 아버지. 아들 경신이 후사 없이 죽은 선덕왕의 뒤를 이어 785년 원성왕으로 즉위하였다. 그의 후손은 번성하여 아들 원성왕을 포함한 이후의 신라 19명의 왕 중 16명(53 ·54대 왕은 제외)이 그의 자손이었다.
출생-사망 ? ~ ?

내물왕의 11세손. 이찬(伊飡) 위문(魏文)의 아들. 부인은 계오부인(繼烏夫人) 박씨. 생전의 기록은 자세하지 않으나, 조종(祖宗)의 만파식적(萬波息笛)을 간수하다가 아들에게 전하였다고 하며, 관등은 일길찬(一吉飡, 또는 대각간에 이르렀다.

아들 경신(敬信)이 후사 없이 죽은 선덕왕의 뒤를 이어 785년 원성왕으로 즉위하자, 그와 부인은 각각 명덕대왕(明德大王)과 소문태후(昭文太后)로 추봉되었다. 또한 시조대왕(始祖大王) ·태종대왕 ·문무대왕 및 그의 부친 흥평대왕(興平大王:추존)과 함께 새로 정해진 오묘(五廟)에 향사되었다. 그의 후손은 번성하여 아들 원성왕을 포함한 이후의 신라 19명의 왕 중 16명(53 ·54대 왕은 제외)이 그의 자손이었다.

역참조항목

오묘, 경주 무장사지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