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인문

김인문

[ 金仁問 ]

요약 신라의 장군·외교가. 당나라에 파견되어 나당연합군 조직에 성공해 소정방과 연합하여 백제, 고구려를 멸망시켰고 당나라에 머물렀다.
김인문묘

김인문묘

출생-사망 629 ~ 694
인수(仁壽)
활동분야 군사, 외교

자 인수(仁壽). 태종무열왕의 둘째 아들. 문무왕의 아우. 651년(진덕여왕 5)에 왕명으로 당(唐)나라에 가서 숙위(宿衛)하여 좌령군위장군(左領軍衛將軍)이 되고 653년에 귀국하여 압독주총관(押督州摠管)이 되어 장산성(獐山城)을 쌓고, 국방을 튼튼히 하였다. 뒤에 당나라에 파견되어, 나당연합군(羅唐聯合軍)의 조직에 성공했고, 660년(태종무열왕 7) 신구도행군부대총관(神丘道行軍副大摠管)으로 소정방(蘇定方)과 연합하여 백제(百濟)를 멸망시켰고, 파진찬(波珍湌)·각간(角干)으로 승진되어 당나라에 머물렀다.

665년(문무왕 5년) 숙위하던 김문왕(金文王)이 죽자, 제5차로 당나라에 가서 숙위하였고, 666년에 당나라 고종(高宗)으로부터 우효위대장군(右驍衛大將軍)에 임명되고, 668년(문무왕 8)에 귀국하여 20만 군사를 동원, 당군(唐軍)과 연합하여 고구려를 멸망시켰다. 679년(문무왕 19)에는 당경(唐京)에 머물면서, 진군대장군행우무위위대장군(鎭軍大將軍行右武威衛大將軍)이 되었다. 690년(신문왕 10) 보국대장군상주국임해군개국공좌우림군장군(輔國大將軍上柱國臨海郡開國公左羽林軍將軍)이 되고, 694년(효소왕 3) 당경(唐京)에서 병사(病死)하였다. 영구는 신라에 호송되고 효소왕으로부터 태대각간(太大角干)이 추증(追贈)되었다. 유학의 대가로도 이름을 떨쳤고, 사어(射御) ·향악(鄕樂) ·예서(隸書)에도 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