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년편람

기년편람

[ 紀年便覽 ]

요약 1877년(고종 14) 김명진(金明鎭)이 편찬한 한국과 중국의 역사 ·지리책.

필사본. 8권 4책. 1778년(정조 2)의 이만운(李萬運)의 저서 《기년아람(紀年兒覽)》을 고종이 보고, “이 책은 어린아이들만 볼 책이 아니다”라고 하여 《기년편람》이라는 서명(書名)을 내리고 좌참찬 김세균(金世均)에게 정조(正祖) 이후의 사실(史實)도 속찬하도록 명하자, 그의 아들 명진이 자료를 수집, 편찬한 것이다.

내용은, 사실은 정사(正史)를 기본으로 삼고, 간혹 패관야승(稗官野乘) 등을 고교(考校)하여 미비한 점을 보충하고 내용을 간추렸다. 8권 중 4권은 중국편, 나머지 4권은 동국편(東國篇)이다.

권1∼3은 중국의 상고(上古)부터 청나라 덕종(德宗)까지, 역대 제왕의 휘(諱) ·자 ·호 ·재위기간 ·향수(享壽) ·시호 ·파계(派系) ·후비(后妃) ·능묘(陵墓) 등과 각 제왕 때의 고실(故實) ·고이(考異) 등을 수록하였다. 권4는 중국 역대 각국의 국도(國都)와 각 지방의 위치 ·옛 이름 등을 밝힌 중국 역대 국도의 지계(地界)이다.

권5∼6은 단군조선부터 고려까지의 역대기(歷代紀)와 고려 이전의 동국 역대 지계를 수록하였고, 권7∼8은 본조만만세(本朝萬萬世)와 본조 8도 지계를 수록하였다. 서술방법은 중국편과 비슷하나, 조선 태조 때부터 철종까지의 선원세보(璿源世譜)는 좀더 자세하게, 왕자 ·공주 ·상신(相臣) ·훈신(勳臣) ·배향(配享) 등을 추록(追錄)하고 각 왕 때의 사적도 약술하였다.

제1책 앞머리에는 《기년편람》 범례 및 중국의 역대총도(總圖)와 각국의 세계도(世系圖)가 있고, 제3책 앞머리에는 《기년아람》 동국 범례 및 기자조선과 마한의 계서도(繼序圖), 신라 ·고구려 ·백제 삼국과 고려의 세계도가 있다. 제1책의 첫 머리에는 이만운의 자서(自序) ·이덕무(李德懋)의 서(序)를 싣고, 제4책 끝에는 김세균의 발(跋)이 있다.

참조항목

기년아람, 김세균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