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년아람

기년아람

[ 紀年兒覽 ]

요약 조선 후기의 학자 이만운(李萬運)이 편찬한 중국과 한국의 역사서.

필사본. 8권 4책. 영조 말년에 편찬한 《중국동방기년아람(中國東方紀年兒覽)》을 1777년(정조 1)에 이덕무(李德懋)의 수정과 보완을 거친 후 다시 저자가 재정리하여 완성하였다. 권4까지의 앞부분에는 중국 역사에 대한 내용을, 뒷부분에는 한국 역사를 수록하였다.

한국에 대해서는 단군조선부터 고려까지의 역대 국왕과 그 연관사항, 고대부터 고려까지의 영역, 조선의 국왕 ·왕실 및 주요사항 연표, 당시의 영토에 대한 사항 등을 정리하였다. 중국에 대해서도 고대부터 청대(淸代)까지의 역사사실을 같은 형식으로 수록하였다. 가야 ·발해 ·일본 ·류큐 등에 대해서도 기록하였다.

제목에 보이는 바와 같이 원래 아동교육용으로 편찬된 것으로서, 연표 ·지리 ·세계(世系) 등을 알기 쉽고 찾아보기 쉽게 정리한 점이 외형상의 특징이지만, 정통과 이단을 따지고 도덕적 평가를 하는 데 중점을 둔 정통론적 역사의식에서 벗어나 객관적이고 합리적이며 과학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학문적 입지를 마련하였다는 사학사적 의미를 지닌다. 기자(箕子)의 후예라는 기준(箕準)의 남하를 통해 기자조선마한(馬韓)을 직접 연결하기보다, 그 이전 마한의 실체를 인정하고 기준 이후에 마한이 기준과 단절된 채 토착민의 한(韓)에 연결되는 것으로 파악한 독자적인 견해는 새로운 역사의식의 한 예이다. 이것은 성리학으로부터 벗어나고 있던 당시 사상계의 한 측면이었으며, 북학파의 역사의식과 맥을 같이 하는 것이었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능력을 인정받아 정조로부터 《문헌비고(文獻備考)》를 개정하자는 명령을 받았다. 뒤에 고종은 김세균(金世均)에게 명하여 정조 이후의 사실(史實)을 덧붙이고 책명을 기년편람(紀年便覽)으로 하게 했는데, 그 작업은 그의 아들 명진(明鎭)이 1877년에 완료하였다.

역참조항목

기년찬요, 역사교육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