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적 분산법

기계적 분산법

[ mechanical dispersion method , 機械的分散法 ]

요약 주로 고체를 분쇄하여 액체상(液體相) 또는 기체상(氣體相) 속에 분산시키는 방법이다.

고체에 대하여 압박·충격·전단(剪斷) 또는 마찰 등 여러 가지 파괴력이 사용되는데, 특히 미세한 입자를 얻기 위한 장치를 콜로이드밀(colloid mill)이라고 한다. 그러나 이 종류의 방법에 의해서 입자지름 μm 이하의 것을 얻는 것은 상당히 곤란하다. 그것은 파괴가 이루어진 고체면의 거칠기에 따라 제한을 받을 뿐만 아니라, 입자 지름이 어느 정도 이하가 되면 압축적 파괴력은 오히려 입자의 결합력이 되어 분쇄효과가 억제되기 때문이다.

1925년 폰 바이마른 등은 이 같은 경우에 수용성인 제3물질을 가하면서 분쇄하면 입자의 재결합이 방해되어 막자사발에 의해서도 분산되고, 물 속에 투입하면 쉽사리 콜로이드가 만들어진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제3물질로서는 슈크로스(설탕)나 포도당이 사용되며, Se·Te·Au·Ag·Hg·BaSO4·Al(OH)3·Sb2S3 등은 이 방법에 의해서 콜로이드상으로 분산된다. 물과 기름을 용기 속에 넣고 휘저어서 에멀션을 만드는 방법도 일종의 기계적 분산법인데, 분산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에멀션화제를 첨가할 필요가 있다.

참조항목

분산

역참조항목

막자사발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