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화

금화

[ gold coin , 金貨 ]

요약 금을 주된 성분으로 하는 주조화폐.
금화

금화

금은 균질(均質)로 세분이 가능하고 화학적으로 매우 안정되어 있으며, 또한 그 아름다움 때문에 고대로부터 모든 사람의 소유욕을 자극하였다는 등의 이유에서 화폐로서의 역할을 하기에 가장 적절한 금속이라고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화폐로서의 금은 이미 BC 20세기경에 이집트·바빌로니아에서 사용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주조화폐로서의 금화는 BC 7세기경에 그리스의 식민지 류디아에서 처음으로 주조된 것으로 전하여진다. 그후 그리스의 각 도시, 남(南)이탈리아, 소(小)아시아 방면으로 전파되어 갔으며, 로마제국에서도 4세기에 들어서 콘스탄티누스 1세 때 주조된 소리두스 금화는 질이 좋아 넓은 지역에 걸쳐 사용되었고, 1,000년 이상이나 유통되었다. 13세기 이후 피렌체에서 주조된 후로린 금화, 베네치아의 금화, 1489년 영국 헨리 7세 때 만들어진 1파운드 금화인 소브린(sovereign) 등, 금화는 이탈리아·영국·프랑스 등 유럽 각지에서 근대적인 통화로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19세기에 들어서 각국이 금화본위제를 채용한 결과 금화는 유일한 본위화폐로서의 위치를 확립하였다. 한국의 경우에도 금화가 주조되었는데, 1882년(고종 19) 금화와 은화의 통용이 결정되어 88년 주조, 유통을 시도한 바 있다. 그 뒤, 이러한 금화의 전성시대는 세계적으로 1914년 제1차 세계대전의 발발로 종말을 고하였다. 모든 나라가 금본위제를 지양하여 금화를 정부가 흡수하려 하였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대전 종료 후의 금본위제 복귀도 사실은 금지금본위제의 채용으로 볼 수 있으며, 금화는 사실상 통화로서의 유통이 중지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다만 현재는 기념주화의 형태로 주조되고 있다. 한국에서도 각종 국제대회와 1988년 서울에서 열린 제24회 올림픽경기대회, 8·15광복 50주년 등을 기념하기 위하여 제작되었다.

역참조항목

금병, 금준비, 정화, 주화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