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광명최승왕경소

금광명최승왕경소

[ 金光明最勝王經疏 ]

요약 《금광명최승왕경》에 대한 신라의 학승(學僧) 승장(勝莊)의 주석서.
구분 불경주석서
저자 승장
시대 통일신라

8권. 원본은 보존되어 있지 않지만 특히 일본의 학승들의 저서에 많이 인용되고 있다. 1964년 안계현(安啓賢)이 일본 승려들이 인용한 내용들을 발췌하여 요지를 복원한 《최승왕경복원소(復元疏)》에서 그 내용을 간추려 보면 다음과 같다.

교흥인(敎興因):교학(敎學)이 일어나는 배경, 현종체(顯宗體):종지(宗旨)를 발현시키는 본질, 명의석(明義釋):뜻을 밝혀 풀어 말하는 것, 석명의(釋明義):본문의 내용을 밝히는 것의 순으로 엮고 있다. 가장 역점을 두어 석의를 가한 부분이 여래수량품(如來壽量品)과 분별삼신품(分別三身品) 부분인데, 필자가 이 경전의 대의를 영원한 불신(佛身)의 화현(化現)이라고 보는 점이 흥미롭다.

한편 승장의 이 주석서는 외국 승려들의 높은 평가를 받았다.

역참조항목

금광명경도량

카테고리

  • > >
  • > > >